[스포츠] 최중량급 ‘투톱 체제’ 한국 유도, 존재감 묵직하네
-
1회 연결
본문

한국 유도 최중량급 간판 선수들. 사진은 아시아선수권에서 각각 금메달과 동메달을 목에 건 남자부 이승엽(왼쪽)과 김민종. [사진 대한유도회]
한국 유도의 올림픽 ‘효자’ 체급은 대부분 경량급이었다. 남자 66㎏급의 최민호(2008년 금)와 조준호(2012년 동), 남자 73㎏급의 이원희(2004년 금)와 김재범(2012년 81㎏급 금)은 경량급의 대표적 라이벌이다. 그런 한국 유도의 무게 중심이 최근 최중량급으로 쏠리고 있다. 국제 경쟁력을 갖춘 선수가 잇달아 등장하며 라이벌 구도가 형성되면서다.
최중량급인 남자 100㎏ 이상급의 김민종(25)과 이승엽(25), 여자 78㎏ 이상급의 김하윤(25)-이현지(18)가 그 주인공이다. 지난 28일 끝난 아시아유도선수권에서 이승엽(금)과 김민종(동)이 시상대에 함께 올랐다. 김하윤이 부상으로 불참한 가운데 이현지도 동메달을 차지했다. 한국 유도의 취약 종목이던 최중량급에서 남녀 모두 ‘투톱 체제’가 형성된 건 처음이다.
남자부는 2024 파리올림픽 은메달리스트 김민종의 독주가 이어질 듯했다. 최중량급치곤 ‘아담한 체격’(1m84㎝·135㎏)으로 유럽의 거구마저 매트에 눕히는 그의 스피드에 맞설 선수가 국내에 없었다. 그런데 김민종의 ‘훈련파트너’인 이승엽이 등장했다. 올림픽 후 김민종이 휴식하는 사이, 황희태 남자대표팀 감독에게 집중적으로 훈련받고 이승엽이 힘과 체력을 끌어올렸다.
이승엽은 원래 100㎏급 선수였다. 키(1m94㎝)는 크지만 날렵한 체형이었다. 덕분에 최중량급 선수들이 익히지 못한 화려한 발기술을 구사했다. 체격을 고려해 대학 시절 체급을 올렸고, 이 결정이 통했다. 체중이 150㎏까지 늘며 힘이 붙은 상태에서 최중량급에는 없는 발기술까지 갖춘 그는 김민종의 라이벌로 떠올랐다.
세계 36위 이승엽은 이번 아시아선수권 4강전에서 2위 김민종을 빗당겨치기 되치기 절반 승으로 물리치는 이변을 연출했다. 훈련 상대였던 이승엽은 김민종의 기술을 훤히 들여다본다. 게다가 힘에서도 밀리지 않았다. 황희태 감독은 “김민종과 이승엽이 모의 경기를 펼치면 40분(정규시간 4분) 이상 뒤엉켜 싸우는 경우도 수차례”라며 “이젠 1진과 (훈련) 파트너 구분이 없다”고 말했다.

한국 유도 최중량급 간판 선수들. 사진은 여자부 김하윤과 이현지. [사진 국제유도연맹]
여자 최중량급도 김하윤(1m78㎝·110㎏)과 고교생 이현지(1m81㎝·138㎏)의 무한 경쟁의 막이 올랐다. 역시 ‘훈련파트너’였던 이현지가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과 파리올림픽에서 각각 금, 동메달을 따낸 김하윤을 제치고 올해 국가대표 1진이 됐다. 이현지는 아시아선수권에서는 2진 자격으로 출전한 지난해 금메달에 이어 올해 동메달까지 2연속 입상했다. 이현지(세계 8위)의 급성장으로 여자 최중량급은 톱10(김하윤 4위)에 두 선수가 들어가는 황금기를 맞았다.
이현지는 중학 3학년이던 2022년부터 “성인 무대에서 통할 것”이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매년 청소년대회 2~3개만 출전하며 기본기를 다졌다. 남자 선수 못지않은 파워를 키운 이현지는 지난해 성인 무대 데뷔와 동시에 입상 행진 중이다. 김하윤은 만만치 않은 이현지를 상대로 국제 대회 메달 22개(금 8·은 3·동 12)의 ‘경험’으로 맞선다.
국제유도연맹(IJF)도 혜성처럼 나타난 이승엽과 이현지에 주목한다. 금호연 대한유도회 경기력향상위원장은 “과거와 달리 최중량급에서 남녀 모두 라이벌 구도가 자리 잡아 내년 아시안게임과 2028 LA올림픽 출전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