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봄꽃이 가을에 피더니, 갈색 번진다…500년 광릉숲, 무슨 일

본문

17459579968182.jpg

광릉숲 국립수목원에서 눈주목 일부가 고사해 잎이 갈색으로 변해 있다. [사진 국립수목원]

“순서대로 피던 봄꽃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피는 대혼란을 겪고 있어요. 20년 이상 숲을 연구한 저도 경험해보지 못한 변화죠.”

28일 경기 포천시 광릉숲에서 만난 임영석(사진) 국립수목원장은 최근 식물들의 이상 신호가 심상치 않다며 이렇게 말했다. 신록(新綠)이 우거진 숲속에서 마치 염색을 한 것처럼 갈변한 나무들이 눈에 띄었다. 임 원장은 “주목 등 침엽수에서 고사 현상이 광범위하게 발생해 전국의 수목원과 협력해 원인을 분석 중”이라며 “때아닌 습설과 급격한 기온 변화로 인한 환경 스트레스가 식물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17459579969917.jpg

임영석 국립수목원장

국립수목원이 있는 광릉숲은 550여 년 이상 자연 그대로 보전된 국내 최대 산림 보고다. 1468년 세조의 능림으로 정해진 뒤 사람 손길이 거의 닿지 않아 극상림(생태계가 안정된 숲의 마지막 단계)을 유지하고 있다. 2010년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됐다.

광릉숲에 이상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한 건 지난가을부터다. 국립수목원의 분석 결과, 왕벚나무는 1년에 0.8일씩 개화가 앞당겨졌고, 진달래는 1.2일로 더 빨랐다. 이렇게 나무마다 기후변화의 영향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다 보니 개화 간격이 줄어들거나 순서가 뒤바뀌는 등 봄꽃 시계가 뒤엉켜버렸다. 김동학 국립수목원 연구사는 “2009년부터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 개화 시기를 모니터링하고 있는데 식물들이 동시에 피거나 순서가 역전되는 현상이 국립수목원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일부 희귀 식물들의 멸종 우려도 커졌다. 지리산을 중심으로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매미꽃이 대표적인 사례다. 한반도 특산식물인 매미꽃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개화기가 40년 동안 2주 정도 앞당겨진 것으로 확인됐다. 조용찬 국립수목원 연구사는 “매미꽃 같은 특산식물은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붕괴되고 멸종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86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