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부패신고 뒤 사망…상속인이 대신 1300만원 보상금 받았다

본문

17460666185893.jpg

서울 중구 하나은행. 뉴스1

부패·공익신고 보상금이 신고자 상속인에게까지 지급됐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올해 1분기 부패·공익신고자 59명에게 6억 3000여만 원의 보상금을 지급했다고 1일 밝혔다.

권익위에 따르면, 이들의 신고로 공공기관이 회복한 수입은 약 72억 5000만 원에 달했다. 보상금이 가장 많이 지급된 분야는 의료(1억6000만 원, 26.4%), 고용(1억6000만 원, 25.6%), 복지(1억5000만 원, 24%) 순으로 나타났다.

17460666187628.jpg

국민권익위원회

특히 이번 분기에는 신고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에게 보상금이 지급된 이례적인 사례도 포함됐다.

권익위에 따르면, A씨는 소나무 재선충 피해목 제거 사업비를 부당하게 수령한 업체를 신고해 약 6600만 원의 환수조치를 이끌어냈다. 하지만 A씨는 수사 진행 중 보상금 신청을 하지 못한 채 사망했다.

이후 A씨의 상속인이 대신 보상금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기존 규정상 지급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권익위는 적극행정 사전컨설팅을 통해 ▶신고자의 귀책사유 없이 부패신고 조사 결과를 통보받지 못한 점 ▶신고자가 살아 있을 당시 이미 부패행위가 적발되어 사업비 감액 처분이 있었던 점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상속인에게 약 1300만 원의 보상금을 지급했다.

이명순 권익위 부패방지 부위원장은 “용기 있는 신고로 부패가 밝혀졌음에도 보상금을 신청하지 못한 사정과 신고자의 공익 기여도를 고려해 신고자의 상속인에게 보상금 지급을 결정했다”며 “앞으로도 부패·공익신고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신고자 보호 및 보상 제도를 적극적으로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8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