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수출, 美엔 6.8% 줄었지만...전체 3.4% 늘어 4월 역대 최대
-
2회 연결
본문

관세 등 통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수출하는 기업들의 불확실성과 함께 금융 부담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30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트럼프발(發) 관세전쟁에도 한국의 수출 실적이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대미(對美) 수출은 감소했지만, EU(유럽연합)·중국·아세안 등 수출은 늘어나는 등 ‘풍선효과’의 영향이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3.7% 증가한 582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4월 가운데 최대 실적이다. 지난 2월부터 시작된 전년 동기대비 증가세도 3개월째 이어졌다. 수입(533억2000만 달러)은 2.7% 줄며 무역수지는 48억80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신재민 기자
당초 지난달 1~20일까지 수출 실적 잠정치가 5.2% 감소하며 트럼프 관세에 따른 ‘수출 쇼크’에 대한 우려가 컸다. 하지만 막판 10일간 선적이 집중되며 월 기준 통계에서는 플러스 전환했다. 4월 조업일수가 지난해보다 하루 더(23→24일) 늘어난 영향도 있다.
예상대로 대미 수출은 6.8% 감소(114억→106억3000만 달러)했다. 트럼프 정부는 10% 기본관세와 철강·자동차 품목 관세(이상 25%) 등을 부과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16.6%)·일반기계(-22.6%)·반도체(-31.0%)·철강(7.1%) 등 주요 품목 수출(이상 1~25일 실적)이 크게 줄었다. 수출 감소로 대미 무역수지는 지난달 9억 달러 줄며, 올해 1~4월 누적 수지도 7억 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미국의 관세 부과는 다른 지역의 수출이 늘어나는 ‘풍선효과’로도 이어졌다. 지난달 한국의 9대 주요시장 중 7개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했는데, 특히 대중(對中) 수출이 3.9% 증가(104억8000만→108억8000만 달러)하며 미국 수출 감소분을 일부 상쇄했다. 대EU 수출은 18.4%(56억5000만→66억9000만 달러) 늘며 전 기간 역대 최대실적인 67억 달러를 달성했다. 인도(8.8%)·아세안(4.5%)·중남미(3.9%) 등 수출도 일제히 증가했다.

신재민 기자
품목별로 보면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의 호조가 눈에 띄었다. 반도체 수출은 역대 4월 중 최대실적인 116억7000만 달러(17.2%)를 기록했다. HBM(고대역폭 메모리) 등 고부가 메모리의 수출이 늘었고, D램(DDR4 8Gb) 고정가격이 12개월 만에 반등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면 자동차 수출은 3.8% 감소(67억8000만 →65억3000만 달러)했다. 전기차 부진, 미국의 관세, 지난해 호실적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무선통신기기(25.3%)·선박(17.3%)·바이오헬스(14.6%)·이차전지(13.7%)·철강(5.4%) 수출도 큰 폭으로 늘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4월 대미 수출은 감소했으나 주요국 수출이 증가하고 주력 품목뿐 아니라 화장품·농수산식품·전기기기도 4월 역대 최대 수출을 경신하는 등 수출 경쟁력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며 “미국의 관세 조치 등 불확실한 환경에서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