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대행의 대행의 대행'된 이주호 부총리…사상 초유의 사태

본문

17461091448517.jpg

(서울=뉴스1) 임세영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5.1/뉴스1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오는 2일부터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며 교육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 부총리는 이명박 정부에 이어 윤석열 정부에서도 교육부 수장을 맡았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기 위해 소집한 국무회의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일 국회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사임했다. 대행 1순위인 한덕수 국무총리도 1일 자로 사임해 임기가 끝나면서 사회부총리인 이 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됐다.

예상 밖 상황에 교육부는 당혹감에 휩싸였다. 교육부 관계자는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가 대행을 맡았을 당시 관련 업무를 기재부가 모두 맡았다고 알고 있다”며 “교육부는 기재부에 비해 본부 조직이 크지 않고 전체 부처를 총괄해 본 경험이 없어 권한대행 업무를 뒷받침할 역량이 될지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다른 관계자는 “본회의 생중계를 보면서도 이런 일이 발생하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는데, 상황이 됐으니 어떻게든 해야 할 것”이라며 “당분간 교육부 정책기획관실 등이 버티더라도 향후엔 총리실의 도움을 받아 조직을 바꿔야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외교와 통상 문제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당장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고, 체코 원전 수주에 따른 본계약 체결에 국정 최고 책임자가 가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 행안부 장관이 공석이어서 차관 대행 체제인 데다 경찰 마저 차장이 대행을 맡은 상황에서 선거관리를 맡는 것도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대대대행’ 이주호…尹때 의대 정원 확대 주도

이 부총리는 서울대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한국개발연구원(KDI) 정책대학원 교수를 지낸 경제학자다. 연구자 시절 대학의 자율성, 수월성 교육(잠재력 있는 학생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교육), 학교 다양화 등을 주장했다.

이 부총리가 본격적으로 행정부와 연을 맺은 건 2007년 대선 때다. 당시 그는 이명박 후보의 교육 공약을 설계했고,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며 청와대 교육과학문화 수석, 교육과학기술부 1차관 등 요직을 거쳤다. 2010년엔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으로 임명됐다. 이 시기 자율형사립고와 마이스터고를 만들었다. 이에  ‘MB의 교육 황태자’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끝으로 정부를 떠났던 이 부총리는 2022년 11월 윤석열 정부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 돌아왔다. 박순애 전 부총리가 ‘5세 초등 입학’ 정책으로 논란을 빚고 물러나면서다. 이 부총리는 지난해 의대정원 확대를 주도했다 최근 의정갈등이 1년 넘게 이어지자 의대 정원을 2024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결정했다. 또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을 핵심 정책 중 하나로 추진하며, 올해부터 일부 학년·과목에 올해부터 실제 AIDT가 도입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계엄을 선포하기 직전 개최한 국무회의에는 불참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4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