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역사마다 개입한 "지구의 진짜 주인공".....균으로 보는 세계사[BOOK]
-
4회 연결
본문

책표지
균은 어떻게 세상을 만들어 가는가
조너선 케네디 지음
조현욱 옮김
아카넷
왜 지구의 한쪽 지역은 다른 쪽 지역보다 성공적이었을까? 왜 그들이 세계를 정복하고, 나머지는 무력했을까? 세계사에서 이보다 중요한 문제는 별로 없다.
1997년 미국의 생리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인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총, 균, 쇠』라는 책에서, 이를 단순히 “유라시아 대륙에 재배 가능한 식물과 가축화할 수 있는 동물이 많았던 탓”으로 돌렸다. 농업은 유라시아에 복잡한 사회의 출현을 가능케 했고, 같이 살게 된 가축들은 인간에게 질병뿐 아니라 저항력도 심어 주었다. 16세기 스페인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을 침략했을 때, 아즈텍 제국과 잉카 제국은 고도의 문명을 가지고 있었지만 총이 없었고, 말이 없었고(수천 년 전 자연상태에서 멸종했다), 스페인인들 몸에 묻어 있던 균에 면역이 없어 멸망하고 말았다.
다이아몬드의 책은 베스트셀러가 되었지만 그만큼 비판도 받았다. 인류 역사를 지리적 조건의 차이로 너무 단순화하고 인간의 의지를 무시했다는 이유였다.

1828년 윌리엄 히스의 풍자화. 영국 템즈강의 물 한 방울을 확대해 괴물 같은 내용물을 본 여성이 놀라서 찻잔을 떨어뜨리는 모습을 통해 런던 식수의 오염 실태를 표현했다. [사진 아카넷]
영국 사회학자 조너선 케네디의 첫 책 『균은 어떻게 세상을 만들어 가는가』는 일종의 ‘균을 통해 본 세계사’이다. 공중 보건이 전공인 저자의 관점은 다이아몬드와 다르다. 그런데 더 섬세하기보다는 명쾌한 쪽이다.
책은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북상하던 중 네안데르탈인과 마주친 5만년 전부터 시작한다. 이때 의도치 않은 생물학전이 일어났다. 현생 인류는 적도를 지나오는 긴 여행 동안 강한 면역을 획득했는데, 이들이 묻혀 온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에 의해 토착민인 네안데르탈인들은 사멸하고 말았다. 여기에 다이아몬드식 지리적 결정론은 없다. 그저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일상어법에서 ‘균’이라고 뭉뚱그려 말하는)가 있을 뿐이고 그게 책의 요점이다. 지구의 진짜 주인공은 균이고, 인간은 영문도 모른 채 이를 여기저기 묻히고 다니는 운반체에 가깝다.

쥘엘리 들로네, '죽음의 천사'(1869). 역병이 펴진 고대 로마에서 죽음의 천사가 문을 두드리는 모습이 담겨 있다.[사진 아카넷]
균은 역사에 늘 개입해 왔다. 3세기 로마에서 기독교가 갑자기 유행한 것은 당시 창궐한 전염병과 관련이 있다. 병자를 내다 버리던 당시 풍습과는 달리 기독교 공동체는 병자를 열심히 간호했으므로, 사망률은 2/3나 낮았다. 그 공동체에 속하는 것이 주는 이점은 누가 봐도 명백했다. 아이티 독립은 진압하러 온 프랑스군이 전염병에 궤멸했기에 가능했다. 이 재앙은 뒷날 루이지애나 매각의 원인 중 하나였다. 미국 남북전쟁이 장기화된 이유는 북군의 40%가 말라리아에 걸렸기 때문이다.
스페인의 아메리카 침략을 다루면서 저자는 다이아몬드를 비판한다. 스페인이 누렸다는 총과 말의 이점은 과장되었다. 네안데르탈인과 마찬가지로 아즈텍과 잉카의 몰락에 결정적 역할을 한 건 균이기 때문에 저자는 ‘총, 균, 쇠’를 ‘균, 균, 균’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옳은 말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21세기 아프가니스탄 전쟁까지 예를 들며 총과 쇠는 결코 충분한 정복 도구가 못 된다고 단언하는 논법은 놀라울 뿐이다.

1852년 잡지 '펀치'에 실린 존 리치의 삽화 '콜레라 왕의 법정'. [사진 아카넷]
균에 대한 인간의 대응이 공중보건이다. 19세기 콜레라의 습격은 ‘위생 문제’를 알게 했다. 20세기 이 문제의 근본 원인은 빈곤임을 깨닫게 되면서 책은 끝난다. 이때쯤 저자의 논조가 변한다고 말해야 할 것 같다. 균의 이동 수단쯤으로 묘사되던 인간에게 전염병 문제 해결을 위한 정치적 의지를 주문하니 말이다.
매끄럽고 명료한 문체로 쓰인 책이다. 각 장은 독립적인 예닐곱 개의 에피소드로 분할되어 있다. 보고 싶은 부분부터 봐도 된다. 세계사 상식을 업데이트하는 용도로도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균이 역사의 동력’이라는 명쾌한 주장을 읽다 보면 흔히 거대서사가 사라졌다는 식의 말은 사실이 아닐 거라는 생각이 든다. 세계는 이미 돌이킬 수 없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어서, 거창한 이야기로 보이지 않는 주장은 실은 한 가지도 설명하지 못하는 것일지 모른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