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5월에 추가모집 열어달라" 사직 전공의들, 복귀 의향 설문조사

본문

17463576488354.jpg

대학병원 전공의실. 연합뉴스

사직 전공의 사이에서 복귀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자체 설문조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조사 결과는 전공의 수련 교육을 주관하는 대한의학회에 전달될 예정이다.

사직 전공의인 임진수 전 대한의사협회 기획이사는 4일 오후 텔레그램 채널 등을 통해 '사직 전공의 5월 추가모집 요청 설문조사'를 공유했다. 임 이사는 "5월이 지나면 졸국(졸업 연차) 전공의는 복귀해도 올해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며 "5월 모집을 요청하는 이들의 의향을 파악하려는 조사"라고 설명했다. 설문 문항은 ▶5월 전공의 추가 모집 요청 동의 여부 ▶미필 전공의인 의무사관 후보생 여부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조사는 일부 전공의가 대한의학회에 "정부가 추가 모집을 열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하면서 시작됐다고 한다. 현행 규정상 수련 공백이 3개월을 넘으면 내년 2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시험 대상자인 레지던트 고연차는 5월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응시 자격을 잃게 된다. 전공의 모집은 통상 상·하반기 두 차례 진행되는데, 하반기 모집 전 한 차례 더 기회를 달라는 요구가 나오는 배경이다.

이진우 대한의학회 회장은 추가 모집을 요청하는 전공의들에게 보낸 답신에서 "정부가 5월 모집을 받아들이려면 명분이 필요하다"며 "얼마나 많은 인원이 실제 귀할 수 있는지 설문으로 숫자를 보여달라"고 말했다. 이 회장의 이 같은 답변은 설문조사 문항에도 첨부됐다.

정부가 추가 특례를 받아들일지는 불투명하다. 앞서 두 차례 마련된 특례 때 복귀율이 낮아서다. 지난해 하반기 수련 특례 지원율은 1.4%(모집 대상 7645명 중 104명), 올해 상반기 수련·입영 특례 지원율은 2.2%(9220명 중 199명)에 그쳤다.

다만 임 이사는 "9월 복귀가 현실화한다면 고연차 전공의는 전문의 시험을 위해 2년을 허비해야 한다"며 "군 미필 전공의도 복귀가 더 어려워진다"고 우려했다. 그는 "서로가 어떤 선택을 고민하고 있는지는 직접 묻고 답하기 전엔 알 수 없다"며 조사를 시작하게 된 이유를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18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