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굳어지는 ‘비대면’…작년 1인당 115건 택배 이용

본문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거래가 확산하면서 지난해 국내 택배 물량이 60억 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전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5일 국토교통부와 한국통합물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택배 물량은 약 59억6000만 건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 대비 15.6%가량 늘었고, 2019년(27억8000만 건)과 비교하면 약 114.3% 늘었다.

택배 물량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비대면 거래가 익숙해진 지난 2020년 이후로 해마다 20%가 넘는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1인당 연간 택배 이용 건수는 2023년 100.4건으로 100건을 돌파했고, 지난해엔 115.2건에 달했다.

물류업계 관계자는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한국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택배 물량이 많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주요 이커머스가 유료 구독 제도를 속속 도입하면서 당일 배송, 새벽 배송, 무료 반품 등 혜택을 늘린 것이 택배 배송 건수 증가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시장이 커진만큼 택배 업계는 주7일 배송을 앞다퉈 도입하며 물량 확보 경쟁 중이다. CJ대한통운 측은 “지난 1월 주7일 배송 도입 이후 식품과 소비재를 취급하는 신규 판매자들의 의뢰가 늘었다”라고 말했다. 한진도 지난달 27일부터 주7일 배송 시범 운영을 시작했고 롯데글로벌로지스도 주7일 배송을 검토 중이다.

택배 업계의 이같은 움직임은 쿠팡 영향이 크다. 자체 물류 인프라를 구축한 쿠팡이 로켓배송으로 빠른 배송 트렌드를 주도하자 다른 이커머스 업체들은 택배 업계에 주7일 배송을 요구해 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37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