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전국의 애순이 관식이가 "외로워서" 썼다…시니어들의 재치와 유머

본문

“외로워서요. 외로워서 시를 썼습니다.”

시니어 시 공모전인 ‘제2회 어르신의 재치와 유머 짧은 시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은 이생문(74)씨는 지난 1일 중앙일보와의 통화 중 시를 쓰기 시작한 계기를 묻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그의 수상작 ‘저녁노을’은 단 세 줄로 인생의 황혼기를 노을에 비유하며 담담하지만 깊은 여운을 남긴다.

17465196342736.jpg

제 2회 어르신의 재치와 유머 짧은 시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은 이생문(오른쪽)씨와 최우수상을 받은 김명자씨. 사진 문학세계사

“저렇게 지는 거였구나/한세상 뜨겁게 불태우다/금빛으로 저무는 거였구나”

심사위원들은 “자신의 삶을 객관화해 바라보는 시선에서 노년의 지혜와 시적 상상력이 돋보인다”는 평을 남겼다.

1951년 전남 장흥에서 태어난 이씨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부산으로 가 조선소에 취업해 25년을 일했다. 조선소를 나와서는 개인 사업체를 꾸렸지만 IMF를 거치며 접었다. 그 후로는 “66세까지 20년 가까이 막노동을 하며 자식 셋을 키워냈다”고.

“사업이 망한 후 경기도 수원으로 올라왔습니다. 지금껏 경기도에서 살고 있지만 이곳은 제겐 객지예요. 고향은 전남이고 직장은 부산이었으니….”

객지에서 노년을 보내고 있는 그에게 시는 “슬픔과 외로움을 해소해주는 친구”다. “화가 나거나 슬플 때 컴퓨터 앞에 앉아 3~4시간 글을 풀어내면 마음이 후련해진다”고. 그는 “시를 읽고 쓰며 삶의 고단함을 위로받았다”고 했다.

취미로 시를 쓰기 시작한 데에는 경제적 이유도 있었다고 그는 덧붙였다. “끝까지 돈 안 들이고 할 수 있는 게 뭐가 있을까 생각하다 시를 쓰게 됐죠. 젊어서도 시를 좋아했고요. 가장 좋아하는 시는 기형도의 ‘엄마 생각’입니다.”

최우수상을 받은 김명자(85)씨의 ‘찔레꽃 어머니’는 어머니를 향한 그리움이 묻어나는 시다.

“오월이면/하얗게 핀 찔레꽃/어머니가 거기 서 있는 것 같다/엄마하고 불러보지만/대답 대신 하얗게 웃는다/언제나 머리에 쓰던 하얀 수건/엄마는 왜 맨날 수건을 쓰고 있었을까/묻고 싶었지만/찔레꽃 향기만 쏟아진다”

17465196344567.jpg

수상작을 담은 단행본 『꽃은 오래 머물지 않아서 아름답다』 표지. 사진 문학세계사

심사위원단은 “어머니의 부재를 찔레꽃이라는 자연물을 통해 섬세하게 표현한 점이 돋보였으며 꽃향기가 그 빈자리를 채우는 대목에서 상실의 아픔을 승화시키는 시적 상상력이 드러난다”는 평을 남겼다.

우수상을 받은 현금옥(90)의 ‘영감 생각’은 노부부의 어제와 오늘을 구어체로 담백하게 표현했다. 경상도 사투리에 담긴 투박한 진심이 감동을 준다.

“젊어서 그렇게 애를 먹이던/영감 때문에/철교에서 몇 번이나 뛰어내릴라 캐도/자식들 눈에 밟혀 못했다//그래도 어제 요양 병원에 가서/영감한테 뽀뽀했더니/영감이 울었다”

전쟁의 상처와 치유를 압축적으로 담아낸 시 ‘꿈’도 있다. “비행기 폭격 온다꼬”, “피난 가라꼬” 외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제는 88세 할머니가 된 13세 소녀가 보인다.

“날마다 꿈을 꾸었다/비행기 폭격 온다꼬/책상 아래 숨으라꼬/피난 가라꼬//90살 되니/그 꿈 안 꾼다” (김화선·88세·우수상)

한국시인협회와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문학세계사가 주관한 이번 공모전에는 65세 이상 어르신의 응모작 8500여 편이 접수됐다. 107편의 예심 통과 작품 중 수상작은 대상 1편, 최우수상 1편, 우수상 10편 등 총 12편이다. 지난달 24일 출간된 공모전 수상 작품집 『꽃은 오래 머물지 않아서 아름답다』(문학세계사)에는 수상작을 포함한 총 77편의 시가 실렸다. 작품집 표지에는 시인을 꿈꾼 한 여성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애순과 관식을 떠올리게 하는 모습이 일러스트로 담겼다. 본심 심사는 김수복, 김종해, 나태주 시인이 맡았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51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