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협상 또 결렬…金측 "다시 만날 일 없다"
-
3회 연결
본문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후보가 지난 8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회동을 마친 후 포옹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전 대통령 후보와 한덕수 후보 측이 10일 단일화 재협상에 나섰으나 또다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자리를 파했다.
두 후보 측은 이날 오후 6시 50분쯤부터 국회 본청에서 비공개 단일화 협상을 진행했다. 김 후보 측에서는 김재원 비서실장 등 2명이, 한 후보 측에서는 손영택 전 총리비서실장 등 2명이 참석했다.
하지만 양측은 단일화 여론조사 방식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고, 결국 협상은 1시간여 만에 결렬됐다. 앞서 김 전 후보 측은 일반 국민 100% 여론조사를 , 한 후보 측은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한 '당원 50%·국민여론조사 50%'를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후보 측 김재원 비서실장은 기자들과 만나 나경원 의원 등 당 중진의원들이 한 후보 측이 요구하는 역선택 방지 조항 50% 적용하는 중재안을 제안했고 이를 수용했다고 설명했다.
김 비서실장은 "우리 측으로서는 반을 양보한 것이고, 나머지 반을 갖겠다고 양보한 것"이라며 "하지만 한 후보 측에서는 이 자리에 와서 역선택 방지 문항이 들어간 것은 하나도 안된다. 1%도 못 받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또 "우리는 100% 주장하다가 반을 양보했는데 이분들은 1%도 안 된다고 한다. 이런 분이 단일화를 하겠나"라며 "이미 짜여진 시나리오대로 자신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로 옹립될 상황이기 때문에 굳이 우리 이야기를 들을 필요가 없다는 주장 아니겠나"라고 했다.
그러면서 "결렬이 아니라 협상 자체가 없었던 것"이라며 "(추가 협상 가능성도) 없다"고 덧붙였다.
반면 한 후보 측 윤기찬 정책대변인은 "역선택 문제가 100% 여론조사 역선택이냐, 반영비율 50% 역선택 방지 여부냐에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매우 비합리적인 룰"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재협상에서 전당원 투표를 통해 최종 결정하자는 입장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형식적으로 절충의 문제가 아니다"며 "이제 막 당에 들어온 분에 대해 당원 평가로 분쟁을 해결하자는 것이 오히려 김문수 후보에게 유리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협상 재개 가능성에 대해선 "절차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시간적 범위 안에서 언제든 만날 용의가 있다"고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