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문수 앞에 놓인 난관 셋…韓·韓 포섭, 이준석, 강성 꼬리표
-
2회 연결
본문

김문수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2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하며 권성동 공동선대위원장과 인사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단일화 파동을 뚫고 국민의힘 최종 대선후보로 확정된 김문수 후보 앞에는 더 큰 난관이 놓여있다. 대선을 22일(12일 기준) 앞두고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의 지지율 격차다.
리얼미터·에너지경제신문의 7~9일 자동응답전화(ARS) 조사에 따르면 차기 대선 후보 지지율은 이재명 52.1%, 김문수 31.1%, 이준석 6.3% 순이었다. 이 후보와 김 후보의 격차는 21%포인트였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매일 1%포인트씩 좁혀야 근소한 차이로 이길 수 있는 수치”라고 말했다.
세부 지표도 김 후보의 열세를 가리켰다. 정권교체를 원한다는 응답은 55.8%, 정권연장은 39.2%에 그쳤다. 중도층 응답자로 좁히면 이재명 54.9%, 김문수 24.3%로 격차가 더 벌어졌다. (기사에 인용된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정치권에서는 김 후보가 앞에 놓인 난관으로 크게 세 가지를 거론한다.
①강성 이미지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내정된 김용태 의원이 12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김 후보는 보수 진영에서 ‘꼿꼿’ ‘청렴’ 같은 수식어로 알려져 있지만, 동시에 강성 이미지도 꼬리표처럼 따라 붙는다.
2020년 ‘아스팔트 우파’인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와 자유통일당을 창당하고, 이 시기 전 목사가 주도하는 시국집회에 참여한 이력이 대표적이다. 김 후보가 앞서 당 지도부와 면담하며 부정선거론자인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를 거론했다는 점과 이와 맥을 같이한다는 분석이다. 민주당은 “전 목사와 연대해 ‘극우 빅텐트’를 결성하라”(김민석 최고위원)고 공세를 폈다. 국민의힘에서도 “중도 확장을 막는 장애물”(초선 의원)이라는 우려가 적잖다.
이에 최근 김 후보 캠프 내부 회의에선 윤석열 전 대통령 관계 재설정 등 강성 이미지를 덜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한다. 1990년생 김용태(35) 의원을 비상대책위원장에 내정한 것도, 이미지 반전을 노리는 김 후보의 고심이 반영됐단 평가다. 김 의원은 12일 첫 선대위 회의에서 “잘못된 계엄, 대통령의 잘못된 행동에 책임을 지우지 못한 걸 과오로 인정해야 한다”며 “채 상병 사건의 수사 외압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②‘韓-韓’ 포섭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3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제5차 전당대회에서 최종 후보로 확정된 뒤 기뻐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한덕수 전 총리를 지지했던 의원과 친한계를 끌어안는 것도 김 후보 앞에 놓인 난제다. 한 전 총리 추대에 적극적으로 나섰던 의원 등 30여명은 11일 김 후보와 첫 상견례 격인 의원총회에 불참했다.
12일 지역 선거 운동에 나섰던 영남 의원은 통화에서 “의원들이 과연 자기 선거처럼 뛸 지 의문”이라며 “한 전 총리 곁에 섰던 의원 사이에선 지금 분위기가 뒤숭숭하다”고 전했다. 한 전 총리는 11일 김 후보로부터 제안 받은 선대위원장직을 수락하지 않았다.
한동훈 전 대표도 윤 전 대통령과 절연, 탄핵 반대 사과 등을 조건으로 내거는 등 김 후보를 압박하고 있다. 한 전 대표는 12일 페이스북에서 “이 문제를 결단하지 않으면 불법 계엄한 윤 전 대통령 부부를 위해 대리전 하는 것밖에 안 된다”고 날을 세웠다. 친한계 김종혁 전 최고위원은 라디오에서 “김 후보는 선대위에 ‘찐윤’을 중용해 정당성을 상실했다”고 했다.
당내에선 한 전 총리와 한 전 대표가 등을 돌리면 중도 확장이 요원하단 우려가 나온다. 김 후보 측은 “지금은 한 전 총리 지지냐 친한계냐를 따질 때가 아니다. 결국 반(反) 이재명이라는 대의 아래 뭉칠 것”이라고 했다.
③이준석 변수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12일 서울 관악구 신림2교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의 선전 여부도 김 후보의 성패를 좌우할 변수다. 최근 정치권에선 국민의힘 단일화 내홍에 따른 반사 이익으로 이 후보의 몸값이 치솟을 거란 관측도 있다. 국민의힘 재선 의원은 “이 후보가 완주하면 김 후보에겐 치명적”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 후보는 12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탄핵 반대파와 손잡는 순간 과반 가능성이 없다. 단일화는 불가능하다”고 일축했다.
이에 국민의힘에선 “이준석 후보가 10% 이상 지지율을 받는 상황이 되면 이 후보는 완주할 가능성이 크다”며 “지금으로선 김문수 대 이재명의 양자 구도를 부각하는 게 최선”이라고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