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삼성전자, 유럽 최대 공조업체 플랙트 2.4조에 인수

본문

17471859145408.jpg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삼성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뉴스1

삼성전자가 데이터센터 냉각에 강점이 있는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를 15억 유로(약 2조4000억원)에 인수한다. 지난해 북미 3위권 냉난방 공조기업 레녹스와 합작법인을 설립한 데 이어, 유럽 공조 시장에도 본격 상륙하는 것이다. 이번 인수합병(M&A)은 2016년 하만 인수 이후 최대 규모다.

14일 삼성전자는 영국계 사모펀드 트라이튼이 보유한 독일 플랙트그룹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인수 절차는 연내 마무리할 예정이다.

독일 서부 헤르네에 본사를 둔 플랙트는 1918년 설립된 100년 역사의 글로벌 공조 기업이다. 데이터센터와 공장 클린룸, 산업·주거용 건물 등의 냉각 솔루션을 전문으로 한다.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글로벌 톱 제약사·헬스케어·식음료·플랜트 등 60개 이상의 대형 고객을 확보해 연 7억 유로(약 1조1000억원) 매출을 올린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수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공조 시장에서 사업을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플랙트의 데이터센터 솔루션은 ‘데이터센터 업계의 오스카상’이라고 불리는 DCS 어워즈 2024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중앙 공조 시장 중에서도 데이터센터 부문은 2030년까지 연평균 18%씩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생성 인공지능(AI)·로봇·자율주행·확장현실(XR) 등의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을 예상, 글로벌 톱 티어 공조 업체를 전격 인수했다”며 “삼성의 빌딩 통합 제어솔루션과 플랙트의 공조 제어솔루션을 결합해, 안정적이면서도 수익성이 높은 사업의 확대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인수로 삼성전자는 기존 강점인 가정과 상업용 시스템에어컨 시장 중심의 ‘개별 공조’에 더해 공항, 쇼핑몰, 공장 등 대형 시설 대상의 ‘중앙 공조’까지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계획이다. 지난해 5월에는 미국 레녹스와 합작법인을 설립해 북미 시장 공략을 강화한 바 있다. 노태문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은 “고성장이 예상되는 공조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지속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M&A 통해 사업 확장 노력하는 삼성

삼성전자가 지난 8일 마시모의 오디오사업부를 인수한 데 이어 일주일 만에 새로운 빅딜 소식을 전하면서, 대규모 M&A 시장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회사가 8년 전 80억 달러(당시 9조3800억원)에 하만을 인수한 이후, 이재용 회장의 사법 리스크 등으로 굵직한 M&A는 멈춰 있었다.

지난해부터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 옥스퍼드 시멘틱테크놀로지, 소니오 등 로봇·AI·의료기기 스타트업 인수 및 지분 투자를 통해 조금씩 M&A 시동을 걸었다. 지난 3월 삼성전자 주주총회에서 고(故) 한종희 부회장은 “올해 유의미한 M&A를 추진해 구체적 성과를 내겠다”고 밝혔었다. 업계 관계자는 “인수 직후에는 성과를 내지 못했던 하만이 이제는 삼성의 가전사업만큼 영업이익을 낼 정도로 성장했고, 회사도 M&A에 자신감이 붙은 상태”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전장, 공조 등 기업간거래(B2B) 분야에서 M&A를 하고 있다. 소비자판매(B2C) 중심의 완제품 사업에 최근 경기침체와 성장성 한계를 겪고 있는 가운데, B2B 분야에서 새 동력을 찾는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신성장 분야, 미래 기술 분야 등 회사가 혁신할 수 있는 영역 위주로 M&A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87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