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패션디자이너 신해정, 국제 디자인 대회 3개 은상

본문

17472039411327.jpg

전기 코드 위 짜여진 뜨개질 실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과 자기 수용을 표현한 ‘틀을 넘어, 가면 너머로(Through the Grid, Beyond the Mask)’ 컬렉션의 룩 2

뉴욕에서 활동하는 패션 디자이너 신해정(Haejeong Sin)씨가 국제적인 디자인 공모전, ‘뮤즈 디자인 어워드(Muse Design Award)’와 ‘프렌치 디자인 어워드(French Design Award)’에서 은상을 받아 주목된다.

뮤즈디자인어워드에서 신해정씨는 패션디자인 - 문화디자인 부문에서, ‘부채춤(Buchaechum)’과 ‘멈춘 시간(Time Paused)’을 출품해 은상 2개를 수상했다.

아울러 뉴욕의 다채로운 환경 속 문화적 정체성과 자기 확신을 다룬, ‘틀을 넘어, 가면 너머로(Through the Grid, Beyond the Mask)’라는 신해정씨의 컬렉션은 프렌치 디자인 어워드의 패션디자인의 ‘착용 가능한 예술(Wearable Arts)’ 부문에서도 은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그녀는 시카고 예술 대학교에서 패션디자인을 전공했고, 뉴욕의 디자이너 브랜드 ‘3.1 필립림 (3.1 Phillip Lim)’에서 패션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다. 그녀의 패션디자인은 3.1 필립림 (3.1 Phillip Lim)의 2025년 초봄 컬렉션(Pre-spring 2025), 2025년 초가을 컬렉션(Pre-Fall 2025), 2025년 가을 정규 컬렉션(Fall 2025), 뉴욕 패션 위크(NYFW) 런웨이 쇼에서 선보인 2025년 봄여름 컬렉션(Spring/Summer 2025)에서 확인할 수 있다.

패션 디자인 문화 부문에서 뮤즈 디자인 어워드 은상을 수상한 그녀의 ‘부채춤’ 컬렉션은 한국의 전통 무용인 부채춤에서 영감을 받아 무용수들의 우아한 움직임을 착용 가능한 예술로 승화시켰다. 패션 디자인 문화 카테고리에서 뮤즈 디자인 어워드 은상을 수상한 또 다른 그녀의 컬렉션 ‘멈춘시간’은 ‘모션 드레이핑(Motion Draping)’과 ‘트롱프 뢰유(Trompe L’oeil)’의 기법을 이용해 잠시 멈춘 시간을 표현했다.

패션 디자인 ‘착용가능한 예술(Wearable Arts)’ 부문에서 프랑스 디자인 어워드 은상을 수상한 그녀의 컬렉션 ‘틀을 넘어, 가면 너머로’는 피에트 몬드리안,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에서 영감을 받은 소재와 상징적 형태를 선보였다. 동서양의 문화적 요소를 조화롭게 융합하고 창의성의 틀을 깨는 그녀의 패션디자인 작업은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감성적 경험, 변화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신해정의 패션 디자인 작품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었으며 전 세계 권위 있는 대회에서 인정을 받았다. 그녀는 혁신의 한계에 도전하고 현대적인 개념으로 패션을 디자인하여 고객의 감성에 접근한다. 그녀는 혁신적인 창의성, 사려 깊은 핏, 미묘한 디테일을 통합하여 예술적 감성이 담긴 실용적인 의류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87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