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北, 공대공 미사일 실사격 첫 공개 과시…중·러 기술 넘어갔나
-
3회 연결
본문

노동신문은 17일 김정은이 ″5월 15일 조선인민군 근위 제1공군사단 관하 비행연대를 방문해 공군비행대들의 반항공전투 및 공습훈련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뉴스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공군의 첫 공대공 미사일 실 사격 훈련을 지도하며 공군력 강화를 재촉했다. 북한이 중국·러시아를 뒷 배 삼아 육·해·공의 재래식 전력 업그레이드에 박차를 가하는 모양새다. 핵개발에 이어 선진국에 필적하는 군사 강국을 꿈꾸는 김정은의 야심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노동신문은 17일 김정은이 지난 15일 조선인민군 제1공군 사단 산하 비행연대를 방문해 공군 비행대들의 반항공(방공) 전투와 공습 훈련을 지도했다고 전했다. 김정은은 지휘소에 꾸려진 감시대에 올라 전투기들의 훈련을 지켜봤는데, “높은 급의 새 세대 항공 공격 및 반항공 무기 체계 개발”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 국가의 하늘과 땅, 바다는 그 어떤 적도 감히 범접 못하는 철벽의 요새로 더욱 굳건히 다져질것”이라면서 “전군의 모든 부대들이 항시적인 임전 태세, 격동 상태에서 전쟁 준비에서의 획기적 전환을 가져와야 한다”고 주문했다.

노동신문은 17일 김정은이 "5월 15일 조선인민군 근위 제1공군사단 관하 비행연대를 방문해 공군비행대들의 반항공전투 및 공습훈련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북한군 미그(Mig)-29 전투기가 '북한판 우란' 미사일로 추정되는 공중 표적을 추적하는 모습. 뉴스1
신문은 미그(Mig)-29 전투기가 공대공 미사일을 쏴 공중 표적을 타격하는 장면도 함께 공개했다. “비행대들은 실전 환경에서와 같이 공중 직일 구역에서 경계 비행 임무를 수행하다가 래습(공격)하는 공중 목표를 탐색하고 추격하여 소멸”시켰다면서다. 표적은 ‘북한판 우란’ 대함 미사일과 가오리 형상의 무인기로 추정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북한이 공대공 미사일의 실사격을 공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은 앞서 지난 2021년 10월 평양 무기 전람회에서 해당 미사일 실물을 처음 공개했는데, 이후 4년 만에 전투기 체계 통합에 성공했다는 의미가 된다. 중·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은 미국, 유럽, 러시아 등 군사 강국들이 보유한 무기로 한국 역시 공대공 미사일을 개발하는 단계에 있다.
"최근 파키스탄 사례 볼 때 위협적"
신문이 공개한 사진을 토대로 보면 북한의 공대공 미사일은 미국의 암람(AMRAAM) 공대공 미사일의 초기 형상을 추종한 중국 미사일 PL-12와 유사해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PL-12는 ‘중국판 암람’으로도 불리며, 전문가들은 유효 사거리를 최대 100㎞까지로 추정한다. 북한 영공에서 발사하면 남측 영공에서 작전 중인 항공기도 위협할 수 있다는 얘기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5일 북한군 제1공군사단 예하 비행연대를 방문해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옆에 두고 간부들에게 지시를 내리는 모습. 노동신문, 뉴스1
이와 관련, 국회 국방위원회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은 “북한 신형 공대공 미사일과 유사한 중국의 PL-12 역시 러시아의 기술지원으로 개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중·러의 공대공 미사일 기술이 북한으로 넘어갔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통상 북한의 공군력은 한국에 비해 절대 열세로 평가돼 왔다. 그러나 이달 초 인도·파키스탄 분쟁 사례를 볼 때, 북한판 공대공 미사일의 진화를 무시할 수만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파키스탄은 4.5세대 전투기인 중국산 J-10C 전투기(J-10)에 PL-15E 공대공 미사일을 결합해 인도의 프랑스산 최신예 라팔 전투기를 격추시켰기 때문이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의 미그 전투기는 최신형은 아니지만, 이를 신형 미사일과 결합해 쏘면 위력을 높일 수 있다"며 "이런 체계 통합을 러시아가 지원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도 적의 레이더 조준이나 미사일 공격을 교란할 수 있는 전자전 항공기 도입 사업을 앞당길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군 제1공군사단 예하 비행연대가 지난 15일 '헬기에 의한 적 무인기 정밀폭격 훈련'을 진행하는 모습. 노동신문, 뉴스1
우크라 실전 경험 접목도…김정은 "실전" 강조
이번 훈련에선 우크라이나 실전에서 체득한 드론 전술을 반영하는 듯한 대목도 있었다. 노동신문이 “적의 순항 미사일들과 자폭 무인 공격기들을 탐색, 추적, 소멸하기 위한 반항공 방어 임무와 각이한 전자수단들로 적의 무인 공격기들을 맹목시키고 소멸하는 전투임무”에 초점을 뒀다고 언급한 부분이 대표적이다.
러시아 파병의 ‘실전 경험’이 북한군에 반영될 수 있다는 한국의 우려가 현실화 한 셈이다. 김정은이 “실전”과 “전쟁 준비에서의 획기적 전환”을 강조한 것도 이런 흐름과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북한이 “새로운 장거리정밀활공유도폭탄 적용시험”도 진행했다고 언급한 대목은 원거리 무장력인 ‘스탠드 오프(standoff) 무장력’을 갖추려 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스탠드 오프 무장은 표적지의 방어 사격을 회피할 정도로 먼 곳에서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데, 중·장거리 공대지 미사일과 정밀활강유도폭탄(PGM)이 대표적이다.

노동신문은 지난 15일 북한판 글로벌 호크인 '샛별-4형'의 비행 장면을 공개했다. 노동신문, 뉴습
이는 남측이 표적이 아니라 일본이나 괌의 미군 기지를 목표로 한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북한은 공개한 사진은 미국의 PGM인 SDB 계열 폭탄과 유사한 형상으로 분석됐다. 다만 북한이 “적용 시험”만 언급하고 훈련을 공개하지 않은 건 개발 초기 단계란 의미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또 북한은 북한판 글로벌 호크인 '샛별-4형'과 북한판 리퍼인 '샛별-9형'의 편대비행 장면도 처음 공개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