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늙고 병들면 돌봐줄 사람? 40대 이상 39% "요양보호사", 자녀는

본문

17477942149007.jpg

노인이 앉아있는 모습. 사진 pixabay

40대 이상 성인 10명 중 4명은 늙고 병들었을 때 요양보호사가 돌봐줄 거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녀가 돌봄을 맡을 거라고 보는 이는 4%에 그쳤다. 배우자의 돌봄 여부를 둘러싼 남녀 간 시각차도 뚜렷했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는 21일 이러한 내용의 '지역사회 돌봄 인식과 수요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5~30일 전국 4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조사했다. 내년 3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두고 국민 인식과 구체적 수요 등을 알아보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고령이나 질병 등으로 돌봄이 필요할 경우 예상되는 돌봄 주체를 묻자 응답자의 39%는 '요양보호사 등 돌봄 인력이 돌볼 것'이라고 답했다. 배우자(35%), 본인 스스로(21%)가 뒤를 이었다. 자녀가 돌봐줄 거라는 비율은 4%였다.

특히 내가 아프면 배우자가 돌봐줄 거라는 응답은 남성 49%, 여성 22%로 두 배 이상 차이가 났다. 남성의 배우자 의존도가 훨씬 큰 셈이다. 여성은 요양보호사(48%)나 본인 스스로(23%)가 돌봄을 맡을 거란 비율이 남성(각 30%, 19%)보다 높았다.

17477942152891.jpg

돌봄 주체와 임종 장소 등에 대한 조사 결과. 자료 돌봄과미래

돌봄이 필요할 때 희망하는 거주 형태는 '현재 살고 있는 집'을 첫손에 꼽았다(47%). 돌봄 받기 좋은 지역사회 내 주거시설로 이주하고 싶다는 응답은 32%였지만, 노인복지시설 입소 희망은 7%에 그쳤다. 김용익 돌봄과미래 이사장은 "내가 살던 익숙한 곳에서 나이 들고, 돌봄 받길 원하는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 수요가 압도적인 걸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자녀 등 따로 사는 가족과 주 1회 이하로 드문드문 연락하는 비율은 49%였다. 자주 교류하는 이웃이 있다는 비율은 10명 중 2명에 불과했다. 긴급 상황이 생겼을 때 가족 외에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응답도 40%였다.

고독사 가능성 질문엔 미혼자의 87%가 동의했지만, 기혼자는 52%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선호하는 임종 장소는 '자택'이 절반에 육박하는 48%로 가장 많았다. 원래 살던 공간에서 삶을 마무리하고 싶다는 희망이 반영된 것이다. 다만 실제 임종 장소가 될 가능성이 높은 장소로는 자택(21%)보다 종합병원(29%)이란 예상이 많았다.

돌봄서비스의 책임 주체는 '국가'(85%)라는 응답이 제일 많았다. 돌봄과 관련해 가장 지원이 필요한 서비스로는 '건강관리·의료'가 꼽혔다. 노인 돌봄 정책 중 최우선 과제로 본 건 '자부담 경감'이었다. 최근 1년간 병원 입원을 경험한 이의 간병은 가족·친척·지인이 무급으로 맡은 경우가 절반 이상(51%)으로 나왔다. 간병인 고용은 7%에 그쳤는데, 이들에게 지불한 하루 평균 간병비는 15만원이었다. 노인 돌봄을 위해 세금 지출을 늘리자는 데엔 85%가 찬성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4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