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용태, 대선 13일 앞두고 “김건희 문제 정중히 사과”
-
1회 연결
본문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1일 “김건희 여사 문제에 대한 당의 진심 어린 반성과 사과의 말씀을 드리겠다”며 “국민의힘은 김 여사의 과거 행위에 대한 국민의 우려를 헤아리지 못한 점을 정중히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국민의힘이 당 차원에서 김 여사 문제에 관해 공식 사과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불법 계엄에 대한 사과와 단절,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에 이어 국민의힘은 이 문제(김 여사 문제)를 깊이 반성하며 근본적으로 변화하겠다는 다짐을 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중단 없이 반성하는 보수로 거듭나겠다”며 “결자해지의 자세로 대통령 영부인 문제의 대안을 실천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영부인 검증 절차 마련 ▶영부인 역할 및 책임 부여 법안 검토 ▶대통령 가족 감찰 과정 투명화 등 제도적 대안을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논란이 은폐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대통령 배우자 활동 예산을 투명화해 배우자가 권한을 남용하거나 불법 행위를 저지르면 다른 공직자와 동일하게 법적 책임을 지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의 배우자 김혜경 여사를 향해서도 “김 여사 역시 과거 여사에 대한 무한 검증 필요성을 스스로 강조했다”며 “마땅히 국민 앞에 검증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전날 자신이 제안한 배우자 TV토론을 이 후보가 거절한 것과 관련해선 “방식에 구애받지 않을 테니 이 후보가 원하는 검증 방식을 제안해 달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비대위원장 내정 직후 윤 전 대통령 탈당 문제를 직접 꺼내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을 이끌어냈다. 여기에 더해 김건희 여사 문제를 직접 사과한 건 대선 구도가 ‘윤석열 심판론’에서 벗어나지 못하자 돌파구를 찾으려 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대선을 불과 13일 앞두고 나온 김 위원장의 사과가 “만시지탄”이란 지적도 적지 않다. 특히 김건희 특검법은 국민의힘의 반대와 윤 전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네 차례 폐기됐다. 김 위원장은 이날 김건희 특검법과 관련해 “검찰의 김 여사 수사가 진행 중이고, 수사 역량이 부족한 점에 대해 검찰이 입장을 밝힌 뒤 필요하다면 검토하겠다”며 확답을 피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