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신라 금동관 ‘뒤집힌 하트’는 비단벌레 장식
-
2회 연결
본문

경주 황남동 120-2호 고분에서 2020년 출토된 금동관의 비단벌레 흔적. [사진 국가유산청]
오색 영롱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이 경주 황남동 출토 금동관에서 발견됐다. 신라 최상위층 고분에서 비단벌레 장식이 일부 나온 적 있지만 금관 혹은 금동관에서 확인된 건 처음이다.
국가유산청은 21일 2020년 출토된 황남동 120-2호분 금동관을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총 13곳에서 비단벌레 날개 15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7장은 관에 붙은 채, 나머지 8장은 떨어져 나와 주변에 흩어진 상태였다고 한다.
금동관은 3개의 4단 출(出)자 모양 세움장식과 2개의 사슴뿔 모양 세움장식, 그리고 관테로 구성됐다. 곳곳에 뒤집힌 하트 모양 구멍을 뚫어(투조) 장식했는데 비단벌레 날개는 이 구멍을 장식하며 붙어 있었다. 한 군데만 3장이 겹쳐진 상태였고, 나머지 4장은 네 곳에 한 장씩 붙어 있다. 대부분 검게 변색했지만 희미하게 원래 빛을 띠는 것도 있다.
6세기 초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무덤에선 앞서 금동관과 금동신발, 금귀걸이, 구슬 팔찌 등 장신구 일체가 착용 상태 그대로 모습을 드러내 주목받았다.
발굴 조사를 담당한 김권일 신라문화유산연구원 학예연구실장은 “신라 문화권에서 발견된 금관이나 금동관에서 이렇게 뒤집힌 하트 형태 구멍이 확인된 것은 첫 사례”라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