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로 대기 중 중금속·미세먼지 증가

본문

17479776716981.jpg

지난 17일 큰 화재가 발생한 광주 광산구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다. 김성룡 기자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이후 대기 중에서 중금속과 미세먼지가 급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환경공단이 실시간으로 공개하는 대기정보시스템 '에어코리아'에 따르면 화재 발생일인 지난 17일 오후 2시께 대기 중 납(Pb) 성분이 단위 부피(㎥)당 18ng이 측정됐다.

호남권 대기에서 측정되는 1년 평균값이 6ng인 점을 고려할 때 최대 3배까지 치솟은 것이다.

또 다른 유해 중금속인 니켈(Ni)도 18일 오전 2시께 3ng이 측정됐다.

1년 평균값인 1ng보다 3배 오른 셈이다.

화재 발생 이후 현재까지 호남권 대기 중 검출된 중금속 물질은 기준치 이내였던 것과 비교되는 수치다.

납은 신경계와 소화기관에, 니켈은 피부나 호흡기 계통에 치명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중금속이자 발암물질로 알려졌다.

또 화재 직후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가 모두 매우 나쁨 수준을 보이면서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일 오후에는 초미세먼지 '매우 나쁨' 기준(76㎍)을 넘어서 124㎍을 기록했다.

같은 시간 미세먼지도 '매우 나쁨' 수준(151㎍)보다 높은 180㎍으로 나타났다.

화재 당시 발생한 검은 연기가 도심 상공으로 확산하면서 주민들이 호흡기 증상이나 낙진 피해 등을 호소하기도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56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