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더버터] "형편 되면 기부하겠다고요? 그 마음으론 평생 못 합니다"

본문

일상의 기부자들 오성삼씨 인터뷰

17496767868912.jpg

오성삼 전 교수는 “인생의 고비마다 도움을 받았는데 평생 갚으며 살 것”이라고 했다. 김용재 기자

오성삼(71) 전 건국대 교수는 인생의 고비마다 누군가로부터 도움을 받았다. 초등학생 시절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그는 두 동생과 함께 보육원에서 지냈다. 며칠 뒤 선생님이 바다 건너 미국의 월드비전 후원자와 연결됐다고 했다. 공부를 곧잘 했지만 먹고 사는 일이 급했다. 스무 살, 뒤늦게 공부를 시작해서 대학에 합격했을 때도 월드비전에서 입학금을 지원받아 수업에 나갈 수 있었다. 장학생으로 미국 유학길에 올랐고, 마지막 학기 등록금도 후원금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지난달 29일 인천 송도 자택에서 마주한 오 전 교수는 “이대로 주저앉을 위기 상황이 닥칠 때마다 어딘가에서 도움의 손길이 다가왔다”며 “그러다 마음속에 결심 하나가 생기더라”고 했다. “받았으니 돌려줘야 한다.”

당시에 어떻게 미국 유학까지 하셨나요.
“플로리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했습니다. 당시 대학 조교를 하면 등록금을 면제받을 수 있었어요. 그래서 외국인 조교들이 많았어요. 그러다 갑자기 주 정부 차원에서 그 혜택을 없앴어요. 외국인에게 혜택이 너무 크다는 이유에서요. 마지막 학기를 앞둔 시기였습니다.”
한 학기 등록금이 얼마였나요.
“1000달러. 1970년대에는 환율이 낮았으니까 80만원 정도 했어요. 당시에는 누군가에게 빌려달라고 말하기도 어려운 엄청 큰돈이었어요.”
결과적으로는 유학을 무사히 마치셨는데요.
“월드비전 미국본부에 편지를 썼어요. 아는 사람이 없으니까요. 어릴 때 지원을 받은 후원아동이고 미국에 유학까지 왔는데 마지막 학기 등록을 못 하고 있다고요. 1000달러를 빌려주면 한국에서 교수가 돼서 이자를 충분히 쳐서 갚겠다고 했어요.”
답장이 왔나요.
“등록 마감 며칠 전에 등기우편이 왔어요. 그 안에 1000달러짜리 수표가 들어있었어요. 그렇게 박사학위를 받았고, 마침 건국대에 채용 공고가 나서 교수가 됐어요.”
이자를 충분히 쳐서 갚으셨나요.
“등기로 온 수표를 복사해서 늘 서랍에 뒀어요. 갚아야 하니까요. 한국에서 돈을 모아서 월드비전에 전화해서 7배로 갚았어요. 2000달러는 월드비전본부로 보냈고, 5000달러는 한국월드비전에 돈이 없어서 공부를 못 하는 학생들을 도와달라고요.”
정기후원도 하셨다고요.
“한동안 잊고 지냈다가 IMF가 터졌죠. 그때부터 아동후원을 시작했어요. 3명으로 시작해서 6명, 9명, 12명 이런 식으로 조금씩 늘렸어요. 월급이 오르니까요.”
몇 명까지 후원하셨나요.
“60명 정도 된 거로 기억이 나네요. 퇴직하면 정기후원도 중단하려고 했는데, 마침 송도고등학교에서 교장을 모집하는 거예요. 퇴직일이 2012년 8월 30일인데, 또 마침 교장 임기는 9월 1일부터 시작이더라고요. 정말 신기하죠. 그렇게 남들 은퇴할 나이에 월급을 받게 됐으니 정기기부를 크게 늘렸던 겁니다.”
지금까지 누적 기부금이 상당하겠습니다.
“세어보지 않아서 정확하게는 모르겠습니다. 언젠가 월드비전에서 연락이 온 적이 있어요. 그동안 기부한 금액이 1억원을 넘었다고요. 지금은 완전히 은퇴하고 많이 줄였습니다.”
줄이더라도 끊지는 않으셨네요.
“후원을 언제까지 해야 하느냐고 생각해 본 적이 있는데요. 그게 안 되겠더라고요. 세상을 떠나는 날 후원이 종료되지 않을까요. 인위적으로 결정할 일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후원받던 소년이 후원하는 어른으로 성장한 거네요.
“보육원에서 지낼 때는 잘 몰랐어요. 미국에서 편지와 함께 사진이 오갔고, 조그마한 선물을 받기도 했어요. 그런데 훗날 미국에서 유학할 때 한번 찾아간 적이 있어요. 덕분에 잘 컸다고요.”
기억이 나십니까.
“당시 시카고에서 미시간으로 기차를 타고 갔어요. 역에 내리는데 후원자 부부와 딸이 기다리고 있었어요. 동양 사람은 나 하나뿐이라 금방 알아봤겠죠. 미시간주에 있는 그랜드래피즈라는 마을이었는데, 하루 그 집에 머물면서 이야기했던 기억이 아련해요.”
기부가 인생을 바꾼다는 말이 실감납니다.
“그렇지요. 형편이 좀 나아지면, 이 고비만 넘기면 기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런 마음으로는 끝내 기부할 수가 없어요. 누구를 돕는다는 건 지금 자기 형편보다 더 못한 사람들을 바라봐야 가능한 거예요. 지난 시절을 돌이켜봤을 때 형편 따지면서 기부하려고 했으면 못 했을 겁니다. 지금 기부를 고민한다면 형편이 문제가 아니라 마음이 문제입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7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