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NIA, 중소기업 데이터 분석 지원사업 본격화
-
4회 연결
본문

NIA는 17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분석서비스 지원 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진흥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오는 6월 17일(화), NIA 대구본원에서 「2025년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분석서비스 지원」 사업 착수보고회를 열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
본 사업은 데이터 확보와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분야별 전문 분석기업을 통해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의 데이터 분석 및 활용 컨설팅을 지원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2024년에는 ‘기업정보’, ‘공간정보’, ‘소비정보’, ‘의료정보’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데이터 분석 및 활용 컨설팅을 지원하였다.
주요 지원 사례로는 ▲고문헌에 기록된 식재료 및 질병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건강기능식품의 신소재를 발굴하고 제품 개발을 지원한 사례 ▲공항 활주로 이물질(FOD: Foreign Object Debris) 인식을 위한 객체 탐지 모델을 고도화하여, 항공 안전성 강화 및 운영 효율성 제고에 기여한 사례 ▲소비자 반응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고 캠페인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고, 광고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화 전략 수립을 지원한 사례가 있다.
올해는 총 40개의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이 분석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재난·안전, 환경, 유통 등 다양한 분야에 참여하였다. 분석기업은 각 수요기업의 현안 해결을 위한 맞춤형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수요기업의 중장기적 성과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분산 서버 실행(엣지 컴퓨팅) 기반 교차로 안전센서의 우회전 위험도 알고리즘 개발, ▲축사 시설 화재안전점검 데이터를 활용한 화재 위험 예측,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AI기반 콘크리트 균열 감지 기술 개발 등 AI와 데이터를 활용한 기업 기술 개발과 함께 국가 사회 현안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는 과제들이 선정되어 추진된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진흥원가 참여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상호 추진 과제를 공유하고 ▲과제 수행 계획 ▲분석방법론 및 활용 데이터 ▲성과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진흥원 황종성 원장은“이번 사업을 통해 참여 기업들이 한 단계 더 도약하고 사회 현안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진흥원은 산업 전반에 AI와 데이터 활용이 확산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사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진흥원은 사업이 종료된 이후, 데이터 분석·활용 사례집 발간과 함께 데이터진흥주간(12월 예정)과 연계하여 우수사례 발표 및 결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