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뛰는 전셋값 위에 나는 집값…서울 전세가율 45%로 뚝

본문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떨어지고 있다. 전셋값보다 매맷값이 더 가파르게 오르면서다. 23일 부동산 R114에 따르면 지난 5월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45.2%로 나타났다. 매맷값이 10억원이면 전셋값이 4억5000만원 정도라는 얘기다. 연초보다 2.25%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연초 대비 전세가율이 하락했다.

서초구가 37.1%로 가장 낮았다. 송파구(38.4%)와 강남구(39.1%)도 30%대를 나타냈다. 앞선 KB부동산 조사에서도 강남 3구의 5월 전세가율(강남 40.4%, 서초 44.8%, 송파 42.8%)은 통계를 집계한 2013년 이후 가장 낮았다. 주로 올해 집값이 많이 오른 자치구들이 전세가율이 낮았다. 반면 금천구(60.9%)와 성북·중랑구(59.5%), 강북구(58.3%) 등은 전세가율이 높은 편이었다.

서울 전셋값은 2023년 6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19개월 연속 올랐다. 하지만 집값 상승 폭이 전셋값을 압도했다. 6월 셋째 주 기준으로 올해 서울 아파트 매맷값이 2.65% 오를 때 전셋값은 0.79% 상승했다. 서울 동남권(강남 3구+강동구)의 경우 같은 기간 집값이 평균 6.36% 뛸 때 전셋값은 1.33% 올랐다. 윤지해 부동산 R114 리서치랩장은 “전세가율 하락에 따라 전세 레버리지(갭투자) 기능이 약화해 이제 서울 일부 지역은 갭투자도 본인 자금이 있어야 가능한 시장이 됐다”고 말했다.

직방에 따르면 올 하반기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1만4043건으로 상반기 대비 20%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올 하반기 서울 집값과 전셋값이 오름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54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