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산업생산 두달째 감소, 자동차·건설 부진 직격탄…소비·투자도 계속 부진

본문

17512967338095.jpg

미국의 관세 정책과 주요 산업 부진의 여파로 지난달 산업생산과 투자가 큰 폭으로 동반 감소했다. 소비도 전월 대비 보합에 그치며 반등에 실패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 산업 생산지수는 112.5(2020년=100)로 전월 대비 1.1% 감소했다. 4월(-0.8%)에 이어 두 달 연속 마이너스다.

제조업 생산이 3.0% 줄어드는 등 광공업 부진의 영향이 컸다. 금속가공(-6.9%)에서 생산 감소세가 두드러졌는데 이는 전방 산업인 자동차·건설업 부진에 따른 것이다. 자동차(-2.3%)는 미국 현지 공장 가동 등 영향으로 두 달째 생산 감소세가 이어졌다. 최창윤 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은 “5월부터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가 적용되며 수출 감소가 나타났고 국내 생산도 위축됐다”고 말했다.

소비의 경우 소매판매액지수는 내구재(1.2%)·준내구재(0.7%) 판매가 늘었지만, 화장품 등 비내구재(-0.7%) 소비가 줄며 전체적으로 4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석 달째 부진이 이어지는 흐름이다. 1차 추경이 집행됐지만, 재해 복구와 통상 대응에 초점을 맞춘 터라 소비 개선 효과가 크지 않았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이 포함된 2차 추경이 집행되면 소비 심리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설비투자도 4.7% 감소했다. 약 2년 만에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국내외 불확실성에 경기는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보다 0.1포인트 낮아졌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09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