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페이커, 빈살만 앞 2연패 도전...사우디서 상금 1000억 'e스포츠 월드컵&…
-
0회 연결
본문

지난해 e스포츠 월드컵 LoL 종목 우승을 이끈 T1의 페이커(오른쪽 둘째). [사진 EWC 인스타그램]
‘2025 e스포츠 월드컵(EWC)’이 오는 8일 개막해 다음달 24일까지 7주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다. 총 상금이 7000만 달러(956억원), e스포츠 역대 최대 규모다. 사우디국부펀드(PIF)가 소유한 새비 게임스 그룹의 자회사가 대회를 주최한다.
지난해 초대 대회가 열렸고, 올해가 2회째다. 온라인 모바일게임 스타크래프트2, 스트리트파이터6 등 기존 종목에 발로란트, 체스, 나라카 등 3종목이 추가돼 25종목으로 확대됐다. 전세계 약 200개팀, 2000명 이상이 참가한다. 홍보 대사는 사우디 프로축구 알나스르 공격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다.

지난해 e스포츠 월드컵 LoL 종목 우승을 이끈 T1의 페이커(가운데). [사진 EWC 인스타그램]
오는 16~20일 열릴 ‘리그 오브 레전드(LoL·롤)’ 종목에 총 12팀이 출전해 상금 24억7000만원을 두고 겨룬다. 한국의 젠지, 한화생명e스포츠, 지난 대회 우승팀 T1이 나선다. 주최 측은 대회 홍보영상에 T1의 페이커(본명 이상혁)를 마이클 조던에 비유하며 ‘불사대마왕’이라고 소개했다. 페이커는 “EWC는 LoL 뿐만 아니라 다른 종목의 잘하는 선수들도 오니, (개최) 장소가 의미 있게 느껴진다”고 했다.
1회 대회 때 철권8에서 한국인 ‘울산’ 임수훈이 우승했다. 종합 1위를 차지한 사우디 ‘팀 팔콘스’는 오일머니를 앞세워 한국 등 전세계 선수들을 쓸어 담았다.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로이터=연합뉴스]
EWC 개최 중심에는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있다. 그는 2016년부터 석유 수출에 의존하던 산업 구조를 다각화하기 위해 프로젝트 ‘비전2030’을 추진했다. 인구 63%가 30세 미만일 만큼 젊은 나라인 사우디는 ‘게임’을 일자리 창출 및 관광 산업이 가능한 미래 먹거리로 보고 있다. 사우디 PIF가 소유한 게임사 스코플리가 지난 3월 ‘포켓몬 고’로 유명한 나이언틱을 4조7800억원에 인수한 것도 전략의 일환이다.
사우디는 외국 관광객을 유치해 리야드를 ‘e스포츠 글로벌 허브이자 메카’로 만들려 한다. 지난해 EWC 시청자는 5억명, 관람객은 260만명에 달했다. 다만 국제사회는 “사우디가 인권 문제 등 부정적 이미지를 희석하려는 ‘스포츠 워싱’을 하고 있다”고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보기도 한다.
사우디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손잡고 2027년 e스포츠 올림픽을 개최할 예정이고, 중국도 IT기업 텐센트를 앞세워 e스포츠 국제시장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한국은 e스포츠의 대중화를 이끈 ‘종주국’이지만, 국내 구단들은 매출이 줄어들어 고민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기간에 e스포츠 활성화를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