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폭염에 신장 탈 나 연 244명 응급실행…심장질환은 278명
-
2회 연결
본문

기록적인 폭염이 계속된 9일 서울 영등포 쪽방촌 골목에서 한 주민이 부채질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무더위가 연일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폭염이 온열 질환뿐 아니라 신장·심장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연평균250명가량 응급실로 실려 온다.
13일 질병관리청의 기후보건영향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14~2019년 폭염(33도 이상)이 발생한 날에 응급실을 더 찾은 환자(초과 응급실 방문자)를 분석하니 급성신장질환 환자가 1466명, 심장질환 환자가 1668명으로 나타났다. 한 해 평균 초과 응급실 방문환자는 급성신장질환이 244.4명, 심장병 278명이다. 같은 기간 온열 질환 환자는 3927명(하루 평균 654.5명)이다.
세 종류의 질환 환자 중 남성이 64.2%, 65세 이상 노인이 45.6%를 차지한다.
질병청은 또 2010~2019년 '초과 입원환자'를 추정했다. 급성신장질환은 1205명(하루 평균 120.5명), 심장질환은 6938명(693.8명), 온열 질환은 2626명(262.6명)으로 나타났다. 입원환자 역시 여성보다 남성이, 젊은 층보다 노인이 훨씬 많았다.
질병청의 폭염·한파로 인한 급성·만성 질병 및 사망률 예측 연구에 따르면 여름철 기온이 28.8도를 기점으로 1도 상승할 때마다 신장 기능이 나빠져 입원하는 환자가 23.3% 증가한다고 한다. 탈수로 인해 신장 혈류량이 줄고, 이게 급성 신장 손상을 야기한다. 특히 만성 신장병 환자의 증상이 악화할 위험이 높다.
미국의 논문('직업적 열 노출과 비전통적 기원의 만성 신장 질환 위험성')에도 '열 스트레스'가 관 모양의 신장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동형 부산 범일연세내과원장은 "폭염으로 인해 탈수가 심해지면 소변량이 줄고 팔다리가 붓고 혈압이 오르는 급성 신장병이 생긴다"며 "쪽방촌 등의 저소득층 노인들이 이런 증세를 잘 인지하지 못해 특히 위험하다. 심하면 24~48시간을 못 넘기고 숨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소염진통제·이뇨제를 먹는 사람도 위험할 수 있다고 한다.
박봉수 해운대백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탈수가 되면 소변 색깔이 진해지거나 어지럼증을 느끼게 된다. 혈액 검사를 하면 콩팥 수치가 올라가 있다. 적절하게 수분을 섭취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박 교수는 "폭염으로 인해 반드시 열사병까지 안 가더라도 콩팥 수치가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 폭염 일수가 많은 해에 진료실을 찾는 환자들의 콩팥 기능이 살짝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여름에는 갈증을 심하게 느끼기 전에 미리 수분을 섭취하는 게 좋다. 노인은 갈증을 잘 못 느끼기 때문에 규칙적으로 소량의 물을 자주 마시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