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민주노총, 오늘 총파업 돌입…“윤 정권 반노동정책 폐기하라”

본문

17526293779185.jpg

지난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월대 앞에서 열린 민주노총 총파업지지 청년·학생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 뉴시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윤석열 정부의 반노동정책 폐기를 촉구하며 16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 오는 19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총파업은 노동기본권 보장과 사회 불평등 해소를 목표로 한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3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7·16 민주노총 총파업대회’를 열고 본격적인 총파업 투쟁을 시작한다. 본대회에 앞서 금속노조, 민주일반연맹, 서비스연맹 등 산별노조가 사전대회를 개최한 뒤 합류할 예정이다.

총파업대회는 서울뿐 아니라 충북, 세종·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강원, 제주 등 전국 12개 지역에서도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된다. 민주노총은 수도권에서 1만명, 전국적으로는 3만명이 참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19일 오후 3시에는 서울 중구 숭례문 앞 세종대로에서 ‘7·19 민주노총 총파업·총력투쟁 대행진’이 열릴 예정이다.

민주노총은 총파업의 목적에 대해 “모든 노동자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결단”이라며 “이재명 정부는 윤석열 정권이 남긴 반노동 유산을 청산하고, 노정 교섭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이번 총파업을 통해 △노조법 2·3조(일명 노란봉투법) 개정 △반노동정책 전면 폐기 △특수고용·플랫폼 노동자의 기본권 보장 △양극화 해소를 위한 실질적 노동개혁 등을 요구하고 있다.

앞서 이달 2일 열린 사전 기자간담회에서도 민주노총은 “이재명 정부는 국정 기조를 신속히 전환하고 노동개혁의 실질적 진전을 이뤄야 한다”며 “윤석열 정부의 배제와 탄압의 노동정책을 폐기하고 노동계와 실질적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총연맹 소속 산별노조들도 개별적으로 총파업을 선언하며 기자회견을 열었다.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동조합은 16일 대통령실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연 후 오토바이 행진을 통해 총파업대회 장소까지 이동할 계획이다.

금속노조는 “정의로운 산업 전환과 생태계 보호를 위한 정책 대화가 필요하다”며 총파업을 통해 조합원 의지를 드러내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보건의료노조는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 중이며, 가결될 경우 오는 24일 오전 6시부터 파업에 돌입할 가능성이 있다.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24~25일에는 총파업 조합원이 상경해 대규모 대회를 진행하고, 26일에는 서울역 광장에서 ‘대한적십자사 본부지부 총파업 승리를 위한 산별집중투쟁’을 벌일 예정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7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