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감원 쪼개나…자리 만들기식 조직 개편에 “관치만 커져” 우려

본문

‘금융감독원 쪼개기’를 골자로 하는 금융 감독 체계 개편이 금융사의 부담만 늘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감독 기구가 2개가 되면 그만큼 관치 부담도 늘고, 업무 권한과 범위를 놓고 기관 간 갈등이 생길 수 있어서다. 성급한 조직 개편이 ‘자리 늘리기’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감원 쪼개 금융소비자보호원 신설 검토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정기획위원회는 금감원 내부 조직인 금융소비자보호처(소보처)를 별도로 떼 금융소비자보호원(금소원)으로 만드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금융위원회가 가지고 있는 금융 정책과 감독 기능을 분리하는 동시에, 금감원의 감독 기능까지 건전성 감독과 소비자 보호로 나누겠다는 의도다.

17526599128157.jpg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이 30일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열린 제3차 전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특히 국정위는 금소원을 현재 금감원과 대등한 감독권을 가진 조직으로 재탄생시키는 이른바 ‘쌍봉형’ 개편을 우선 검토했었다. 금융사 건전성 감독은 금융감독위원회와 금감원이 담당하고, 금융 소비자 분쟁과 관련한 영업행위 규제는 신설 금융소비자보호위원회(가칭)와 금소원이 맡는 방안이다. 이럴 경우 금소원에 금감원처럼 독립적인 금융사 검사 기능도 부여할 가능성이 크다.

금융 감독 쪼갠 호주·英, 비효율·혁신 저해 경험

하지만 이런 쌍봉형 체계는 금융 감독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다. 기관별로 상이한 감독 기준을 내놓으면 금융사의 혼란을 부추길 수 있고, 또 업무 권한과 영역을 놓고 다툼이 발생하면 감독 사각지대가 생길 수도 있어서다.

실제 쌍봉형을 택한 다른 나라들도 이 같은 문제를 경험했다. 대표적으로 호주는 지난 2001년 보험사인 HIH이 파산하는 과정에서 두 감독기관인 APRA(건전성 감독기구)와 ASIC(영업행위 감독기구)가 정보 교류를 제대로 하지 않아 주식투자 및 보험가입 제한 조치를 하지 못해 피해가 커졌다.

감독 기관 간 이중 규제가 금융 산업 발전을 저해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역시 쌍봉형 체계를 택한 영국은 감독 기관들이 경쟁적으로 규제를 내놓으면서 오픈뱅킹 같은 산업 혁신이 막혔다. 영국 상원 금융서비스규제위원회는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규제 중복에 금융사들이 신상품 개발을 방해받았다”고 지적했다.

“신설 조직 새 규제 경쟁적으로 만들 것”

쌍봉형 체계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자, 국정위에서는 최근 ‘소봉형’ 체계로 전환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 소봉형은 금감원에서 소비자 보호 기능을 분리해서 금소원을 만들되, 쌍봉형과 달리 금소원에 금감원 수준의 독립적 검사권은 주지 않고 소비자 분쟁과 민원만 담당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금감원과 업무가 중복될 수 있다는 우려는 다소 덜 수 있다.

17526599130115.jpg

티몬·위메프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 현장 검사에 나선 금감원 관계자들. 연합뉴스

하지만 새로운 조직이 생기면, 권한을 주지 않더라도 또 다른 규제 방안을 경쟁적으로 만들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지적이다. 실제 국정위는 금소원을 만들면서 소액 소비자 분쟁의 경우 금융당국 결정을 무조건 따르게 하는 ‘편면적 구속력’ 도입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신설 금소원이 존재감 과시를 위해 편면적 구속력을 과도하게 적용할 경우 금융사 부담이 급증할 수 있다.

금융업권 관계자는 “단독 검사권을 주지 않는다고 해도 금소원이 새로 생기면 다양한 방식으로 금융사에 압박을 가하면서 존재감을 부각하려고 할 것”이라면서 “결국 우리 입장에서는 시어머니만 2명 생기는 것이고 이에 대응한 인력과 비용만 느는 셈”이라고 했다.

‘금감원 쪼개기’ 특정 인사 자리 만들기?

금감원이 이미 하는 소비자 보호 업무를 굳이 별도 조직으로 떼어내는 것은 결국 자리 만들기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크다. 건전성 감독과 소비자 보호 업무 성격이 상충되지 않기 때문에 굳이 조직을 나눠서 다룰 필요가 적어서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대통령과 가까운 특정 금융권 인사에게 자리를 주기 위해 금감원을 분리하는 것이란 해석도 나오고 있다.

금감원으로 일원화돼 있는 금융 감독 권한이 쪼개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조직 개편 논의가 기관 간 밥그릇 싸움으로 변질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실제 한국은행은 국정위 업무보고에서 금융사 ‘단독 검사권’을 달라고 요구했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려면 현 금감원 체계에서 관련 역할을 더 부여하면 되는데, 굳이 조직까지 분리하겠다는 것은 자리만 늘리겠다는 의도로 읽힐 수 있다”면서 “감독 기구가 많아지면 금융사 관치 부담만 더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80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