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서울 아파트값 3주 연속 상승폭 둔화…‘재건축 기대’ 노후단지만 급등

본문

서울 아파트값이 6·27 대출 규제의 본격 영향권에 들었다. 특히 한강벨트 지역 상승폭이 크게 줄며 서울 전체 아파트값 오름세가 세 주 연속 둔화했다. 하지만 재건축 기대감이 큰 일부 노후 단지는 되레 매맷값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둘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9% 올랐다. 6·27 규제가 일부 반영된 6월 마지막 주(0.4%)와 7월 첫 주(0.29%)에 이어 3주 연속 상승폭이 줄었다. 특히 25개 자치구 중 중구와 도봉·중랑구를 제외한 22개 구의 상승폭이 둔화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신축과 역세권 단지 등에서 상승세가 지속하고 있지만, 매수 관망세가 심화하면서 거래가 감소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1752765449622.jpg

차준홍 기자

최근 집값이 급등했던 지역일수록 규제 직격탄을 맞았다. 대출 규제 시행 직전 주간 기준 역대 최대 상승률을 보였던 마포구(0.6→0.24%)는 전주보다 0.36%포인트 하락하며 서울에서 내림폭이 가장 컸다. 양천구(0.55→0.29%)와 성동구(0.7→0.45%)도 상승세가 크게 꺾였다. 강남구(0.34→0.15%), 영등포구(0.45→0.26%), 서초구(0.48→0.32%), 경기 과천시(0.47→0.39%) 등도 상승률이 둔화했다. 남혁우 우리은행 부동산컨설턴트는 “서울 토허제 구역과 풍선 효과 지역인 마포·성동 등 한강 신축 벨트, 경기 과천·분당 등 주요 타깃 지역이 이번 대출 규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고가 아파트 거래도 위축됐다.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에 따르면 6·27 규제 이후 수도권에서 10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16일 기준 12.1%로 규제 이전(1월 1일~6월 27일, 23.9%) 대비 반 토막 났다. 같은 기간 5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40.1%에서 50.4%로,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는 36.1%에서 37.5%로 늘었다. 집토스는 “서울은 대출 규제 영향이 덜한 중저가 아파트 위주로 시장이 재편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매맷값은 고가 아파트가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0억원 초과 아파트는 규제 시행 이후 2.8% 올라 5억원 이하(0.9%),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0.9%)를 웃돌았다. 특히 지어진 지 30년 넘은 서울 노후 단지는 규제 시행 이후 7.3% 급등해 신축(3.8%) 상승률을 압도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자금력이 있는 수요가 재건축 같은 확실한 투자처로만 몰리는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78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