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여성 나체 그림'에 갈라선 트럼프·머독…MAGA도 균열 조짐

본문

17529996642202.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 3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당시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 후보, 루퍼트 머독(오른쪽)과 함께 미국 국부펀드 설립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언론 재벌 루퍼트 머독을 상대로 거액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 세력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의 균열로 이어질 조짐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 폭스뉴스, 뉴욕포스트 등을 소유한 뉴스코프를 이끄는 머독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승리에 기여한 인물이지만, WSJ 보도를 계기로 둘 사이는 물론 폭스뉴스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지난 1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미성년자 성매매 혐의로 수감 중 사망한 제프리 엡스타인에게 2003년 외설적인 그림이 그려진 편지를 보냈다고 보도한 월스트리트저널(WSJ)을 상대로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사를 작성한 WSJ 기자 2명과 발행사 다우존스, WSJ의 모기업인 뉴스코프와 창립자 루퍼트 머독 등을 상대로 100억 달러(약 14조원) 규모의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이는 미 역사상 최대 명예훼손 배상액을 훌쩍 뛰어넘는 금액이다.

WSJ에 따르면 당시 엡스타인의 50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편지에는 여성의 나체를 묘사한 그림과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이 쓰여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며 가짜뉴스라고 주장했지만, 그가 과거 여러 장의 스케치 그림을 자선 단체에 기부한 사실이 드러났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에게 불리한 보도를 했다며 ABC, CBS 등을 상대로도 소송을 제기해 수백억 원의 합의금을 받아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서 이를 언급하며 "루퍼트 머독과 그의 '쓰레기 더미' 신문사인 WSJ을 상대로 한 소송에서 그가 증언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머독, 트럼프 전화에도 거절"

17529996644303.jpg

트럼프 대통령이 뉴욕의 한 비영리 단체에 기부한 그럼. 맨해튼 건물 배경에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이 적혀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외신들은 미국 보수 진영을 대표하는 트럼프 대통령과 머독의 관계 변화에 주목했다. 머독은 친(親)트럼프 매체로 꼽히는 폭스뉴스와 트럼프 대통령을 본격 유명세를 타게 한 뉴욕포스트를 통해 그의 대선 승리에 기여했다고 평가받는다. 다만 보수 성향 경제지인 WSJ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강하게 비판해왔다.

머독은 지난 주말에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클럽월드컵 결승전을 VIP 스위트 박스에서 함께 관람했다. 이후 몇 시간 만에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머독을 불러 편지를 공개하지 말라고 요구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FT는 "트럼프 대통령의 폭언과 소송은 WSJ 기사를 막기 위한 며칠간의 로비 활동 끝에 나온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머독과 로버트 톰슨 뉴스코프 최고경영자(CEO), 에마 터커 WSJ 편집장에 여러 차례 전화 통화를 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설득에도 머독의 신념을 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머독은 과거에도 할리우드 스튜디오의 고위 인사들이 기사를 막으려고 하자 "미안하지만 기사는 나간다"며 들어주지 않았다고 한다. FT는 머독의 측근들을 통해 "(트럼프와 머독 간) 단절은 머독이 트럼프가 엡스타인 사건으로 인해 마가 운동에 대한 지배력을 잃어가는 것은 아닌지 고민한다는 신호"라고 전했다.

정면돌파 나선 트럼프, 악수될까

17529996646518.jpg

17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트럼프 행정부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팸 본디 법무장관의 사진과 엡스타인 파일에 대한 인용문이 담긴 피켓을 들고 있다. AFP=연합뉴스

엡스타인 사건과 관련한 진실공방도 계속되고 있다. 생전에 트럼프 대통령과 빌 클린턴 전 대통령 등 정·재계 유명 인사들과 교류했던 엡스타인이 작성한 성 접대 고객 리스트가 있다거나, 그의 사인이 타살이라는 등 음모론이 떠올랐다. 팸 본디 법무장관이 지난 2월 "(엡스타인 리스트를) 들여다 보고 있다"고 말한 것과 달리 법무부가 최근 리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발표해 논란이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 지지층 내에선 본디 장관 해임과 함께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여기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합세해 불을 지폈다. 머스크가 지난 16일부터 현재까지 X에서 엡스타인 사건과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를 비판하기 위해 쓰거나 공유한 글은 30개가 넘는다. 그는 법무부 발표에 대해 "명백한 은폐"라며 "많은 권력자가 그 명단이 공개되지 않기를 원한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법원에 엡스타인의 기소 과정에서 나온 대배심원 증원을 공개해달라고 요청하면서 정면돌파에 나섰다. 그러나 증언 공개, 소송 과정에서 자신에게 불리한 내용이 나오거나 당분간 의혹이 해소되지 않은 채 갈등이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WSJ도 다른 언론사들과 달리 트럼프 대통령과 합의하기 위해 '대통령 도서관'에 기부하지 않겠다는 분위기다. 다우존스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우리는 보도의 엄격함과 정확성에 전적인 확신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소송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K조선, 美방산까지 참여 논의"…협력 상징 필리조선소 가보니 [르포]

  • CBS는 결국 220억 뱉어냈다…트럼프가 美언론 장악한 수법

  • 트럼프랑 싸우더니 욕설·조롱 늘어…트럼프 닮아가는 민주당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82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