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표절 의혹' 이진숙 지명 철회…'갑…

본문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논문 표절 등의 논란에 휩싸였던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했다. 반면, 보좌진 상대 갑질 논란으로 곤욕을 치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비롯해 다른 논란이 일던 후보자는 일단 임명 강행 수순을 밟기로 했다.

17530103424896.jpg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왼쪽),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임현동 기자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은 그동안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면서 고심에 고심을 거듭했고, 고민한 결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며 “국회는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뜻을 존중해 조속히 후속 조치를 진행해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 지명 철회 이유에 대해 “인사청문 과정에서 상당 부분 의혹이 해명된 측면도 있고, 해명되지 않은 측면도 있었다”며 “여러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 수석은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을 하는 것으로 보면 되나’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뒤 “아직 임명되지 않은 11명의 후보자 중 이 후보자에 대해서만 지명을 철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후보자 임명 강행 이유에 대해선 “(대통령이) 자세한 배경 설명을 따로 하진 않았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의견이 있었던 것을 잘 알고 있지만, 인사권자로서 여러 가지 종합해 이런 결정을 했다는 점을 국민 여러분께서 이해해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 대통령은 전날(19일) 여야 원내대표를 만나 인사청문회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강선우·이진숙 두 후보자는 반드시 지명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김병기 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낙마 불가’ 입장을 고수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선 임명 여부에 대한 의중을 드러내진 않았다고 한다.

양당 원내대표와 면담 직후 이 대통령은 참모진들로부터 인사청문회에서 제기된 의혹과 해명에 대해 1시간가량 보고를 받았다. 이후 이 대통령은 하루 동안 고심한 끝에 ‘이진숙만 지명 철회’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17530103426742.jpg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20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청사에서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지의 지명 철회를 밝힌 후 질문을 받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 대통령이 이 후보자 지명 철회는 민심 달래기 차원으로 보인다. 이 후보자는 지난 16일 인사청문회 이후에 논문 표절을 둘러싼 추가 의혹이 이어졌고 초·중등 교육 제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비판에도 시달렸다. 일부 민주당 의원들(김상욱·강득구) 공개적으로 사퇴를 요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민주당보좌진협의회 역대 회장단이 사퇴 요구 성명을 내는 등 진영 내부에서도 논란이 거셌던 강 후보자는 ‘현역 불패’ 신화를 이어가게 됐다.

여권에선 이 대통령이 강 후보자 임명 강행을 선택한 이유로 심리적 부담감을 거론한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강 후보자는 지난 대선에서 방송토론팀을 맡아 열심히 활동했다”며 “강 후보자에게 낙마는 곧 정치적 사망 선고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이 대통령이 굉장히 부담스러워 했다”고 전했다. 대통령실 내부에선 “사실관계를 검증하기 힘든 일방적인 ‘갑질 피해’ 주장이 나올 때마다 번번이 인선을 물릴 순 없지 않으냐”는 말도 나왔다고 한다.

당 지도부와 강성 지지층의 ‘강선우 옹호론’도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거론된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강 후보자 인사청문회 다음 날인 지난 15일 “청문회에서 국민의힘은 비방과 인신공격, 반대를 위한 반대로 일관했다. 안타깝고 유감”이라며 방어에 앞장섰다. 유력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도 “같이 비를 맞아 주는 게 동지적 의리”라며 강 후보자를 공개 엄호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원 여론이 ‘강선우 엄호’로 기운 것을 이 대통령도 알지 않았겠냐”고 말했다.

이날 결정에 대해 박성훈 국민의힘 대변인은 “뜻 모를 갑질과 반복된 거짓 해명으로 국민을 농락한 강 후보자를 장관에 임명하겠다는 건 국민 눈높이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며 “이른바 ‘내 사람은 무조건 지킨다’는 이재명식 실용주의의 민낯이 그대로 드러낸 사례”라고 지적했다.

17530103428661.jpg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 사진 동국대학교 홈페이지

한편,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이 12·3 비상계엄을 옹호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강 비서관은 지난 3월 펴낸 저서에서 “대통령의 권한인 계엄 선포를 내란으로 몰아가는 행위는 ‘계엄=내란’이라는 프레임의 여론 선동”이라고 주장했다. 강성 지지층에선 강 비서관 임명 철회를 요구하는 주장이 빗발치고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87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