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해수부가 오면 단체 간식 주문 늘 것” 기대감 큰 상인들
-
1회 연결
본문
“더 깔끔하게 포장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지난 16일 오후 부산 동구 수정동 한 유명 꽈배기도넛집 주인은 “해양수산부가 이전하면 단체 간식 주문이 늘지 않겠나. 인근 동구청에서도 그런다”며 이같이 말했다. 해양수산부 임시청사 본관이 들어설 IM건물에서 약 200m 떨어진 거리에 있는 가게다.
해수부 이전이 진행되는 수정동 상권 일대엔 비슷한 기대감이 감돈다. 부산 원도심권에 해당하는 이 지역은 과거 경부·경전선과 동해남부선 열차가 모두 정차한 부산진역과도 지척이어서 철도 물류의 중심지로 꼽혔다. 부산진역은 경남에서 난 농수산물 집하장으로도 기능해 이를 기반으로 주변 전통시장도 번성했다.
하지만 2004년 KTX 개통으로 여객은 부산역에 몰리며 이듬해 부산진역 여객 기능은 닫혔다. 화물 기능 또한 물류 중심이 부산신항으로 옮겨가며 일부만 남았다.
이에 20년 가까이 침체하던 상권엔 해수부 이전 결정을 계기로 최근 기대감이 싹튼다. IM건물 바로 뒤편 수정시장(점포 수 70여곳) 상인들은 “(해수부) 직원들 이주에 따라 반찬·과일 등 매출이 오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자체 등에서 부착한 ‘해수부 이전 환영’ 현수막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지역 해운·수산업계도 해수부 이전을 반긴다. 업계에선 “국내 최대 규모 위판장인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에 박차가 가해질 것”이라거나 “부산·경남 해안을 기반으로 한 수산 스타트업이 활성화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국제회의 등 해수부가 주최하는 연간 10~15회의 정기적인 행사로 컨벤션센터인 벡스코(BEXCO) 등 마이스업계 훈풍을 예상하는 분위기다.
지역 정치권에선 여·야가 힘을 모았다. 장관 후보자인 전재수 의원이 정주여건·생활기반 지원 등을 약속하자 지난 17일 윤병철 국가공무원노조 해수부지부 위원장이 ‘해수부 이전 반대’ 단식 농성을 풀었다. 정동만·이성권 등 국민의힘 의원들은 “해수부 산하기관을 포함한 완전하고 신속한 이전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곽규택 의원 또한 이전 기관과 지역산업 간의 연계 등을 규정한 ‘해양수산부 등의 부산 이전 및 해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법안’을 대표 발의하며 힘을 보탰다.
최성두 한국해양대 해양행정학과 교수는 “현장을 중시해야 하는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긍정적이다. 관료화된 조직을 일신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 교수는 해수부 관련 기능·기관까지 이전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가 가장 힘 있는 초창기에 이루지 못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어려워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일각에선 이전 과정에서 숙의가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차재권 국립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기존에 해수부가 있던 지역인 세종시나, 이전을 반발하는 해수부 내부와 충분한 소통이 부족했던 부분이 아쉽다”고 평가했다.
이어 차 교수는 “대신 이전에 따른 해수부 노조 요구안의 전향적 수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해야 앞선 공공기관(한국자산관리공사·한국거래소 등) 때와 비교해 더 확실한 이전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