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각목·대나무로 실종자 수색” 동시다발 수해, 장비도 없다

본문

푹, 푹, 푹….

21일 오전 7시쯤 경남 산청군 산청읍 모고마을. 탐침봉과 갈퀴, 삽 등을 든 소방대원 20여 명이 발목 위로 쌓인 흙더미를 파헤치고 있었다. 마을 아래 하천 쪽에 투입된 20여 명의 소방대원도 마찬가지였다. 탐침봉 등 제대로 된 장비가 없는 대원들은 긴 각목과 대나무 작대기를 손에 쥔 채 구슬땀을 흘렸다. 지난 19일 수마(水魔)로 실종된 70대 남성을 찾기 위해서다. 현장에서 만난 소방대원은 “산청에 동시다발적으로 수해가 발생하다 보니 장비가 부족해 나무 막대기까지 써서 수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마을에서 비교적 젊은 축에 속하는 50~60대 주민 10여 명도 수색을 거들었다. 박인수(61) 모고마을 이장은 “다리가 푹푹 빠지니 오른쪽 종아리에 피부병이 생길 정도”라고 했다. 지난 19일 내린 역대급 폭우로 이 마을은 쑥대밭이 됐다. 토사와 바위, 건물 잔해가 곳곳에 쌓여 있었다. 박 이장은 “오전 11시50분쯤 산사태가 나기 전에 어르신(실종자)은 아내분과 함께 마을회관에 대피했었다”며 “그러다 잠시 집에 다녀오시겠다고 나간 지 10여 분 만에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안타까워했다.

10명이 숨진 경남 산청에선 이번 폭우로 쏟아진 토사 등에 휩쓸린 것으로 파악된 실종자 4명을 찾기 위한 수색 작업이 한창이었다. 산청군통합지휘본부에 따르면 실종자가 발생한 산청읍 모고리, 단성면 방목리, 신등면 율현리, 신안면 외송리엔 소방대 172명과 군병력 79명이 투입됐다. 열화상 드론을 띄우고, 수색견도 투입했다. 하지만 수색에 속도가 붙진 않고 있다. 실종자가 사흘째 발견되지 않자, 토사가 흘러간 하천까지 수색 범위가 넓어지면서다. 굴삭기 등 중장비 12대를 동원해 산더미처럼 쌓인 토사와 바위, 나무 등도 걷어내며 작업하다 보니 더딜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복구도 더디다. 특히 도로 등 주요 기반 시설이 붕괴되면서 주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산청읍에서 차황면으로 넘어가는 길목인 ‘친환경로’ 약 4㎞ 구간 중 일부는 아스팔트 포장이 붕괴되고, 그 아래 지반마저 유실된 상태다. 국도 3호선 일부 구간(신안면 외송리)도 낙석과 토사로 막혀 신안면에서 산청읍으로 가려면 고속도로로 우회해야 한다. 산청 38개 마을 1344가구는 아직도 단전 상태다. 한국전력은 토사 등으로 현장 진입이 어려워 전력 복구에 애를 먹고 있다고 한다. 수도·가스마저 끊긴 곳도 있다.

수색·복구에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박완수 경남지사는 이날 오후 산청 피해 현장을 찾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실종자 수색과 이재민 지원, 항구적인 복구를 위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며 “산청, 합천, 의령 등 피해가 심각한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줄 것”을 건의했다. 이 대통령은 “신속히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광주광역시·전북·전남·경남에 재난안전관리 특별교부세(재난특교세) 55억원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조치다. 이 대통령은 21일 경남 산청 호우 피해 지역을 찾아 “모든 자원과 행정력을 총동원해 피해 주민들을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호우 피해 지역이 조기에 안정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21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