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호우 경보에도 환불 안돼…캠핑장 ‘안전불감증’ 논란
-
4회 연결
본문

21일 폭우 피해를 본 경기도 가평군의 한 캠핑장 부근에 방치된 침수 차량. 전민규 기자
21일 경기도 가평·포천에서 이틀째 실종자 수색작업에 사망자 한 명씩이 발견돼 사망·실종자가 각각 4명으로 늘었다. 특히 일가족 4명이 산사태 피해를 당한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마일리 캠핑장에서 고교생 아들은 20일 부상을 입은 채 구조돼 헬기로 후송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당초 40대 부부와 중학생 아들 등 3명이 사고를 당한 것으로 집계됐지만 후송된 아들이 충격과 부상으로 조사가 어려워 신원 확인이 늦어졌다.
아버지는 전날 오전 캠핑장 계곡에서 약 6㎞ 하류 대호교 아래에서 시신으로 발견됐지만 어머니와 중학생 아들은 여전히 실종 상태다. 현장은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게 토사와 강물에 휩쓸렸다. 다리도 유실돼 차량 및 중장비 진입이 불가능해 119대원들이 맨손 수색을 벌이면서다.
경사진 골짜기와 계곡 주변에 가건물·텐트가 밀집한 형태인 사고 캠핑장처럼 국내 캠핑장 다수가 산사태·홍수에 취약한 재난 위험 지역에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전국의 캠핑장은 4323곳이며, 지방자치단체 등록, 인허가제로 운영된다. 2015년 3월 인천시 강화군 글램핑장 화재로 5명이 숨진 사건 이후 관광진흥법이 개정되면서 안전 기준이 강화됐다. 지자체가 정기적으로 등록 야영장을 지도·감독하도록 했다.
하지만 경기도 가평군은 298개 캠핑장을 직원 2명이 맡는 등 관리 인원은 태부족하다. 가평군 관계자는 “서울 면적보다 큰 구역을 매일 출장다니며 점검한다”고 했다.
불법 캠핑장의 배짱 운영도 골칫거리다. 경기도 특별사법경찰에 따르면 2022년 11건, 2023년 15건, 2024년 10건 등 무등록 야영장 운영 등 캠핑장 불법 행위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무등록 야영장은 보험을 들지 않아 사고가 나더라도 배상·보상을 받기 어렵다.
악천후에도 환불을 거부하는 캠핑장이 많은 현실도 문제다. 이날 네이버 캠핑 커뮤니티에선 이번 호우 경보에도 환불을 받지 못해 울며 겨자먹기로 캠핑을 가는 사람이 적지 않다는 불만 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한 회원은 “호우주의보가 내렸는데 천재지변도 환불을 안 해준다고 대놓고 공지해 둔 업체가 있다”며 “소비자원에 신고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거냐”는 글을 올렸다.
다른 회원은 “호우경보가 떠도 ‘우리 캠핑장은 괜찮다’는 업주 말만 돌아올 뿐”이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환불 민원 246건 중 기상변화나 천재지변으로 인한 분쟁이 33%(61건)로 가장 많았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