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내란 특검, 여인형 소환…추경호 등 국힘 수뇌부 본격 조준
-
4회 연결
본문

여인형 당시 국군방첩사령관이 지난해 12월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당시 국민의힘 지도부가 국회의 해제 의결을 방해했다는 의혹에 대해 본격적인 수사에 들어갔다.
특검팀은 22일 오후 2시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한다. 여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당시 이재명 대통령 등 이른바 ‘반국가세력 체포조’를 운영한 혐의로, 지난해 12월 31일 내란 중요임무 종사 및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이후 이달 초 구속기간 만료를 앞두고 위증 혐의로 군검찰에 다시 기소되며 구속이 연장됐다.
특검팀은 여 전 사령관에게 비상계엄 상황에서 방첩사령부가 국회의 해제 의결을 저지하는 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 국민의힘 측과의 연계는 있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을 방침이다. 특히 국민의힘 수뇌부가 당시 국회의원의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물어볼 예정인 것으로 파악됐다.
국민의힘 수뇌부를 둘러싼 의혹의 핵심은 윤 전 대통령이 추경호 전 원내대표 등에게 사전 연락을 취해 계엄 해제안 표결을 막으려 했다는 점이다. 실제로 윤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 선포 이틀 전인 지난해 12월 1일과 당일인 3일, 추 전 대표와 전화 통화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계엄 당일 국민의힘 의원총회 장소가 ‘국회→당사→국회→당사’로 변경되면서 다수의 국민의힘 의원이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특검팀은 이 같은 정황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두 차례 조사 과정에서도 확인했다. 지난달 28일과 이달 5일 진행된 조사에서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에게 추 전 대표, 나경원 의원 등과의 통화 배경을 집중적으로 물었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미리 알리지 못해 미안하다는 취지로 통화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파악된다.
추 의원 측은 국회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과 관련해 “전혀 사실 무근이며 일방적 주장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앞서 특검팀은 15일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을 불러 국회 내 계엄 해제 표결 당시 상황과 피해 규모 등을 조사했다. 현재 특검팀은 관련 의혹 전반을 담당할 소규모 전담팀을 꾸려 집중 수사 중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