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 특검, 김용대 23일 재소환…“김용현, 남포 등에 계속 보내라”
-
4회 연결
본문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무인기 작전과 관련해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17일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조은석 내란 특검 사무실에 출석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에게 오는 23일 소환을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사령관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된 지 이틀 만에 재소환한 것으로 특검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을 공모한 혐의 등 외환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23일 오후 2시 김 사령관에게 소환 조사를 통보했다. 김 사령관을 상대로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 관련 윗선 지시와 사후 은폐 경위 등에 대해 조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사령관을 추가 조사한 뒤 새로운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재청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검팀은 김 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 김 전 장관과 지난 9월 중순 대통령 집무실에서 회동하는 등 일반 이적 혐의 공모 관계에 있다고 보고 있다.
특검팀은 앞서 지난 17~19일 김 사령관에 대한 세 차례 조사를 마친 뒤 증거인멸, 도주 우려 등을 사유로 긴급체포했다. 이후 20일 김 사령관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한 특검팀은 외환 의혹 관련 일반이적죄를 제외한 허위공문서 작성 등 5가지 혐의를 적용했다. 외환 의혹의 경우 추가 수사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김 사령관 측은 “영장실질심사에서 제시된 변호인 의견서 등에 대해 추가 확인하는 절차가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전날(21일) 영장심사에서 구속 사유에 대해 일반이적죄 수사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한다.
한편 특검팀은 지난 18일 이승오 합참 작전본부장 조사에서 지난해 10월 북한이 평양 침투 사실을 공개한 뒤 합참이 반대하는데도 김 전 장관이 무인기 투입 위치를 변경하면서 무리하게 작전을 지시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장관이 평양 대신 무인기를 계속 보내라고 지시한 위치는 평안남도 남포시와 NLL(북방한계선) 북쪽 동해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0월 3일과 9·10일 세 차례 평양에 무인기를 보내는 작전을 한 뒤 군사적으로 덜 민감한 곳으로 작전 장소를 옮겨 작전을 강행하라고 했다는 취지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