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유네스코 또 탈퇴…"친팔레스타인·친중국 문제 삼아"
-
3회 연결
본문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본부.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탈퇴를 결정했다고 뉴욕포스트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2023년 6월 유네스코에 재가입한지 2년 만이다.
이날 애나 켈리 백악관 부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유네스코에서 미국을 탈퇴시키기로 결정했다"며 유네스코는 '워크(Woke·깨어있는)'와 분열적인 문화·사회적 의제를 지지하는데, 이는 미국 국민이 지난 11월 (대선에서) 선택한 상식적인 정책들과 완전히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미국은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유네스코를 비롯해 세계보건기구(WHO), 유엔 인권이사회, 파리협정, 이란 핵 협정 등에서 탈퇴한 바 있다. 이후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회원국으로 있어야 한다며 유네스코에 다시 가입했고, WHO와 파리협정에도 복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기 취임 직후인 지난 2월 미국의 유네스코 회원국 참여에 대해 90일간 검토할 것을 행정부에 지시했다. 뉴욕포스트는 "정부 관계자들은 유네스코의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과 친중국, 친팔레스타인 성향에 문제의식을 느꼈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 유네스코의 2023년 '인종차별 대응 지침'과 지난해 발간한 '멘탈리티(MEN'talities·남성적 사고방식) 전환 이니셔티브' 보고서가 문제 사례로 언급됐다. 유네스코는 이 지침을 통해 회원국에 인종차별의 역사에 대한 질문에 답하고 형평성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보고서에는 젠더 규범과 관련해 인도에서의 유네스코 활동을 강조하는 내용이 담겼다.
트럼프 행정부는 유네스코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점령'했다고 표현하고, 이스라엘의 공격을 비판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백악관 관계자는 "유네스코 집행위원회가 유대교 성지를 '팔레스타인 세계유산'으로 지정하는 등 이스라엘과 유대인에 대해 적대적 조치를 강행했다"고 주장했다.
유네스코에 두 번째로 많은 자금을 대는 중국이 고위직에 중국 인사를 포진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도 탈퇴 요인으로 꼽힌다. 미국은 지난 2017년 탈퇴하기 전까지 유네스코의 자금의 22%를 댔는데, 재가입 이후에는 8%로 줄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