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관세 1%P 깎아주고…트럼프, 필리핀 대통령 ‘40분 병풍’ 세웠다
-
6회 연결
본문

2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이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무역·군사 분야 합의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이 끝난 뒤 “필리핀은 19%의 상호관세를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AFP=연합뉴스]
미국과 관세 협상이 항상 성공적으로 끝나는 건 아니다. 일본이 22일(현지시간) 미국과 관세 협상을 대체로 무난하게 매듭지은 그 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고도 사실상 빈 손으로 귀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일본과 관세 타결 발표 6시간 전 자신의 소설미디어(SNS)에 “필리핀이 미국에 시장을 개방하고 관세를 제로(0)로 하는 무역협상을 타결했다”며 “반면 필리핀은 (미국에) 19%의 관세를 낼 것”이라고 적었다. 지난 9일 트럼프 대통령이 필리핀에 통지한 관세는 20%였다. 필리핀 대통령이 직접 미국으로 건너가 협상했지만 1%포인트밖에 낮추지 못한 것이다. 지난 4월 미국이 필리핀에 공지한 관세율 17%에 비하면 오히려 2%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공동 회담에서 ‘병풍’ 역할을 하는 굴욕 역시 당했다. 모두 발언만 공개되는 통상적인 정상회담과 달리 트럼프 대통령은 40분 가까이 기자들의 질문을 받았다. 기자들의 질문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몰리며 마르코스 대통령은 발언 기회도 거의 얻지 못한 채 미국 국내 정치 논쟁을 지켜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마르코스 대통령 앞에서 “필리핀은 이슬람국가(ISIS·근본주의 테러조직)와 테러리스트로 가득 차 있었지만, 내 재임 기간 그들을 완전히 소탕했다”며 “만약 내가 개입하지 않았다면 현재 누가 필리핀 대통령이 됐을 알 수 없다”고도 말했다. 어렵게 기회를 얻은 몇몇 필리핀 기자들이 관세에 대해 묻자, 트럼프 대통령은 “당신은 필리핀 기자인가”라고 반문하고는 “마르코스 대통령이 너무 강경해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사실 나는 지금보다는 이전의 마르코스 대통령을 더 좋아했다”는 조롱 섞인 말로 일관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거친 압박은 필리핀에만 유독 두드러졌던 건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일 관세 협상 때도 “일본은 매우 잘못 길들여졌다”는 등의 막말을 퍼부었다. 그럼에도 일본의 협상 결과는 한국에는 정치적으로 부담스러운 부분이다. 일본이 집요한 협상 끝에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췄기 때문이다. 한국에도 협상의 여지가 있다는 점이 확인됐지만, 핵심 동맹국에도 15%라는 낮지 않은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한국 정부는 일본 만큼의 협상 성과를 내야 하는 부담감도 지게됐다. 외교소식통은 “한국이 자동차 관세를 낮추지 못할 경우 최대 대미 수출품인 자동차 시장이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고, 그렇다고 쌀 시장을 개방할 경우 정부가 정치적 위기에 몰리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도 일본처럼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투자요구를 받을 수 있다. LNG 개발은 사업성이 불투명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외교가에선 미국 관세 협상을 두고 “정치적 결단이 필요한 사안들이 쟁점이 됐기 때문에 결국 대통령이 나설 수밖에 없다”는 주장과 캐나다처럼 정상이 나섰다가 고율의 관세를 통보받은 전례를 이유로 “성급한 회담은 위험하다”는 의견이 엇갈린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대행을 지낸 스티븐 본 변호사는 “협상은 보통 장관급에서 합의할 수 있는 내용을 파악한 뒤에 어려운 쟁점을 대통령에게 가지고 간다”며 “절차를 건너뛰려는 시도는 좋은 생각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