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앉은 자리서 수기로 쓱…日투자액 1000억달러 올렸다

본문

17533056529091.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22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일본의 무역 협상 총괄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정ㆍ재생상(앞줄 오른쪽 네번째)과 대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책상 위에 올려진 패널에 일본의 대미 투자액으로 4000억 달러라고 인쇄된 수치를 지우고 수기로 5000억 달러로 적은 게 보인다. 사진 댄 스커비노 백악관 부비서실장 엑스(X)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과 일본의 관세협상 최종 단계에 나서 일본에 부과하는 관세율과 일본의 대미(對美) 투자 규모 등 핵심 조건을 직접 결정한 것으로 보이는 사진이 공개돼 화제가 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2일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일본과의 무역 협상 타결 소식을 전하면서 일본이 미국에 5500억 달러(약 760조 원)를 투자하고 자동차ㆍ농산물 시장을 개방하는 조건으로 미국은 대일(對日)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댄 스커비노 백악관 부비서실장은 이날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미ㆍ일 무역협상 합의 소식을 발표한 직후 소셜미디어 엑스(Xㆍ옛 트위터)에 백악관 집무실에서 찍힌 사진을 올렸다. 이 사진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 관세 협상을 총괄하는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정ㆍ재생상과 대화하고 있고 미국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야마다 시게오 주미 일본대사 등이 배석한 채 대화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투자 ‘4000억달러’ 지우고 ‘5000억달러’

눈길을 끄는 건 트럼프 대통령 책상 앞에 올려진 한 장의 패널이다. ‘일본, 미국에 투자하다(Japan Invest America)’는 제목의 이 패널에는 일본의 대미 투자액으로 4000억 달러라고 인쇄된 것에서 숫자 ‘4’에 선을 긋고 수기로 ‘5’라고 쓴 것이 포착된다. 대미 투자 규모를 즉석에서 5000억 달러로 1000억 달러 늘린 것으로 해석되는 장면이다. 일본이 당초 4000억 달러의 대미 투자를 제안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막판에 5000억 달러로 상향한 뒤 최종 발표 단계에서 다시 5500억 달러로 500억 달러를 더 늘린 것으로 추정된다.

17533056531376.jpg

신재민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대일 관세율과 투자 결과로 인한 미국의 이익 점유 비율도 당초 일본이 제시한 조건보다 미국에 유리한 쪽으로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 패널에 인쇄된 문구는 ‘관세율 10%’, ‘이익 공유 50%’라고 돼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에 부과하는 상호 관세율을 15%라고 발표했다. 패널에 적힌 10%에서 5%포인트 오른 수치다. 일본의 5500억 달러 대미 투자 후 미국이 거둬가는 이익 배당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90%를 가질 것이라고 했는데, 이 역시 애초 패널에 적힌 50%에서 40%포인트나 오른 것이다.

또 패널에는 ‘자동차ㆍ의약품ㆍ반도체 관세 15%’라고 인쇄돼 있는데, 여기에도 의약품과 반도체 위에 ‘20%’라는 숫자가 손글씨로 적혀 있다. 품목별 관세율은 세부 조건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이르면 이달 말 공개하겠다고 한 의약품ㆍ반도체 관세율을 일본에 대해서는 20% 적용할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대목이다. 자동차의 경우 기존 관세 2.5%를 포함해 15%를 적용한다고 일본 정부 관계자는 밝혔다.

17533056533799.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22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오벌 오피스)에서 일본의 관세 협상 총괄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정ㆍ재생상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 백악관 엑스(X) 캡처

러트닉 “日 5500억달러 투자처 美 결정”

사진 속 패널은 러트닉 상무장관이 만든 것이라고 한다. 그는 23일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제가 그 커다란 판을 만들어 거기에 올려뒀다”며 “미국 최고의 협상가인 도널드 트럼프가 그곳에 앉아서 협상을 했다”고 전했다. 러트닉 장관은 일본의 5500억 달러 대미 투자와 관련해 “일본은 미국에 (투자 대상) 프로젝트 선정 권한을 줄 것”이라며 “대통령이 ‘미국에서 항생제를 만들자’고 하면 일본이 해당 프로젝트에 자금을 대고 우리는 프로젝트 운영 사업자에게 자금을 줄 것이며 이익의 90%는 미국의 납세자가 갖고 10%는 일본이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5500억 달러는 일본의 자본, 대출과 대출 보증 등을 합한 액수라고 했다.

러트닉 장관은 또 자신이 지난 1월 일본에 대규모 투자 펀드 구성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은 절대로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대로 자국 시장을 진짜로 개방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며 “그래서 나는 일본에 (트럼프) 일본이 대통령과 미국 국가안보를 위해 필요한 무엇이든 지을 수 있는 금융을 제공하는 4000억 달러 펀드를 제안했다”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이 제안한 4000억 달러의 대미 투자 펀드가 트럼프 대통령 최종 재가를 거치면서 5500억 달러로 1500억 달러 늘어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16일에도 무역 협상차 방미한 아카자와 경제재정ㆍ재생상을 백악관으로 갑자기 호출해 면담을 한 적이 있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23일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 무역 대표단을 집무실로 데려와 광범위한 협상을 주도했다”며 “일본은 힘든 협상 상대였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더 강했다”고 전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3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