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은행 카드 대출 연체율 4% 돌파...20년 만에 최고치

본문

17533236340461.jpg

서울 시내의 한 거리에 카드 대출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은행권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이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신용점수가 낮은 취약 차주들이 1금융권은 물론 2금융권에서도 대출 문턱을 넘지 못하자,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카드 대출로 몰린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일반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은 지난 4월 3.6%에서 5월 4.2%로 0.6%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05년 5월 5.0%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여기서 말하는 일반은행은 카드사를 계열사로 두고 있는 주요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을 제외한 지방은행과 특수은행을 포함한 금융기관이다. 카드 대출은 현금서비스(단기대출)와 카드론(장기대출)을 모두 포함한다.

연체율은 2023년 12월 2.8%에서 2024년 1월 3.0%로 올라선 후 3%대를 유지해왔다. 올해 들어 연체율은 1월 3.5%, 2월 3.8%, 3월 3.5%, 4월 3.6% 등 점진적으로 오르다 5월에 급등했다. 연체 기준은 원금 기준 하루 이상 연체다.

금융권에서는 1·2금융권 모두 대출 문턱을 높이자, 다중채무자들이 카드 대출에 의존하다 연체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저축은행 등 2금융권도 자산 건전성 우려에 따라 대출을 축소하는 분위기다. 5월 말 기준 저축은행 여신 잔액은 95조7067억원으로, 이는 2021년 10월 이후 약 3년 7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업계 관계자는 “취약 차주들이 마지막 대출 수단으로 카드론을 활용하다가 상환이 어려워진 상황”이라며 “5월 경기 둔화 흐름도 연체율 급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0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