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부 “美 2+2 회의 연기, 한미 협상과 무관…재무장관 일정 때문”

본문

17533271252803.jpg

한미 간 '2+2 통상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려던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24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굳은 표정으로 나오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24일 오전 언론 공지를 통해 ″미국과 예정됐던 25일 '2+2협상'은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인해 개최하지 못하게 됐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오는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예정됐던 한미 경제·통상 분야 2+2 장관급 회의가 미국 측 사정으로 연기된 가운데, 우리 정부는 이번 일정 변경이 협상과 관련한 미국 측의 입장 변화나 신호로 해석되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23일 기자들과 만나 “이번 회의 연기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 때문이며, 한국과의 협상과 관련해 숨겨진 뜻이 있다고 보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근거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예정대로 미국 주요 인사들과 회동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양측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 더그 버검 국가에너지위원장 등과의 협의 일정을 그대로 진행 중이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한국시간 24일 오전 “미국과 25일 예정됐던 2+2 회의는 베선트 장관의 급한 일정으로 열지 못하게 됐다”며 “미측은 조속한 시일 내 재개최를 제안했고, 양측은 빠른 시일 내로 일정을 다시 조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미국 출국을 준비하던 중 회의 연기 소식을 접하고 출국하지 않았다.

이번 2+2 회의는 한미가 내달 1일부터 시행 예정인 상호 관세 부과에 앞서, 관세율 조정과 무역 불균형 해소, 산업 협력 확대 등을 논의하고 합의를 도출할 계획이었다. 구 부총리와 여한구 본부장은 베선트 장관, 그리어 대표 등과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을 예정이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6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