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美∙EU 협상 타결 임박했다는데…EU, 트럼프 변심 대비 '보복 준비&a…

본문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관세협상이 타결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보도 속에서도 EU는 ‘노딜’에 대비해 약 150조원 규모의 보복 관세 등 강도 높은 보복 조치를 준비 중이다.

17533308446214.jpg

16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본부 밖에 유럽연합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2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미국과 EU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EU산 수입품에 대한 30%의 관세를 15%로 낮추는 합의에 근접했다. 다만 FT는 “상황은 유동적이며 변경될 수 있다”는 미국 측 관계자 발언을 인용하면서 “미국이 상호관세를 30%로 인상하겠다는 위협을 실제로 실행에 옮긴다면 EU가 보복 조치에 나설 수 있다”고 전했다.

EU는 협상 마감 시한인 다음달 1일까지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최대 930억 유로(약144조9000억원) 규모의 보복 관세 패키지를 마련해 둔 상황이다. EU 회원국은 지난 4월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에 대응한 1단계 조치로 닭고기, 청바지, 오토바이 등 210억 유로(약33조8000억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을 보복 관세 대상으로 승인했다. 이 조치는 다음달 6일부터 시행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위협과 자동차 관세 부과 등에 맞대응하기 위한 2단계 조치에는 보잉 항공기와 버번 위스키 등 720억 유로(약116조1000억원) 규모의 상품이 포함됐다. 2단계 보복 관세안은 24일 표결에 부쳐진다.

17533308448586.jpg

23일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왼쪽)가 베를린의 독일 외무부 영빈관 빌라 보르시그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환영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아울러 EU는 이른바 ‘무역 바주카포’로 불리는 통상위협대응조치(ACI) 발동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023년 12월에 도입된 ACI는 제3국이 EU나 회원국에 통상 위협을 가한다고 판단되면 해당국 기업의 금융·투자·지적재산권 분야 무역 등에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조치다. 폴리티코 유럽판은 “ACI는 EU의 대외 경제적 자율권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 도구”라고 보도했다.

다만 아직까지 ACIT가 발동된 사례는 없다. FT에 따르면 독일과 프랑스는 ACI 발동에 찬성하고 있지만, 다른 회원국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역풍을 우려해 조심스러워하는 입장이다.

미국 측의 관세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23일 블룸버그 TV 인터뷰에서 EU가 검토 중인 보복 관세 카드에 대해 “협상 전략의 일환”이라고 평가절하하며 “내가 EU라도 그렇게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즉석에서 펜으로 '4000억→5000억' 바꾼 트럼프…협상사진 화제

  • 쌀+α 주고 10%P 깎은 일본, 한국도 비상

  • 자동차 관세 낮췄지만 철강은 그대로, 일본 ‘절반의 성공’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2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