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올 2분기 성장률 0.6% 반등…관세 불확실성 속 수출·소비 회복

본문

한국 경제가 올해 2분기(4~6월)에 0.6% 성장했다. 반도체와 석유·화학 업종을 중심으로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비상계엄에 추락했던 소비 경기가 살아난 덕분이다. 1분기 역성장 충격에서 벗어나 일단 한숨을 돌렸지만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변수다. 미·일이 합의한 15%보다 높은 수준으로 상호관세가 정해지면 올해 성장률이 0.8% 밑으로 추락할 수 있다고 한은은 진단했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 대비 0.6%(속보치) 증가했다.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하면 0.61%다. 지난 5월 한국은행이 전망한 수치(0.5%)를 소폭 웃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0.5% 성장했다.

바닥에 머물렀던 경제성장률이 간만에 고개를 들었다. 지난해 1분기 1.2% 상승(이하 전기 대비)했던 성장률은 2분기 -0.2%로 추락했고 3·4분기 각각 0.1% 그쳤다. 올 1분기엔 비상계엄 여파로 -0.2% 뒷걸음질 했다가 2분기 들어서야 반등했다. 1분기 성장률 추락에 따른 기저효과(비교 대상 수치가 지나치게 낮거나 높아 나타나는 통계 착시) 영향이 컸다. 수출·소비도 성장률 회복에 한몫 했다.

17533451592556.jpg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한국은행]

수출은 1분기 부진(-0.6%)을 딛고 2분기 반도체, 석유·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4.2% 증가했다. 계엄·탄핵 등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1분기 침체(-0.1%)했던 민간 소비는 2분기 승용차와 오락·문화 등을 중심으로 0.5% 증가했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4월보다는 5월, 5월보다는 6월이 (소비가) 더 좋아졌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억눌렸던 소비심리가 살아났고, 주식시장의 호조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정부 소비도 유방암과 어린이 대상 고난도 수술 보장이 확대되며 건강보험 급여비 중심으로 1.2% 늘었다. 정부 소비 증가율은 2022년 4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1분기 건설투자(-1.5%)와 설비투자(-1.5%) 부진은 여전했다. 특히 건설투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 영향으로 착공이 줄어 지난해 2분기부터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다. 올 1분기에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0.4%포인트 끌어내렸는데(기여도), 2분기에도 0.2%포인트 낮췄다. 이 국장은 “건설투자는 부진이 완화된 정도”라며 “그동안의 착공 실적, 선행지표, 건설 수주 동향을 보면 빠르게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설명했다.

2분기 국내총소득(GNI)은 전 분기 대비 1.3% 늘어, GDP 성장률(0.6%)을 웃돌았다. GNI는 수출입가격 등 교역 조건 변화를 감안해, 실제 소득이 얼마나 되고 얼마나 살 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2분기에는 원유·화학제품의 수입품 가격이 수출품 가격보다 크게 하락한 것이 GNI가 상승하는 데 주된 영향을 미쳤다.

올 2분기 들어 성장률이 반등하긴 했지만 연간 1%를 넘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지난 5월 한은은 연간 경제성장률을 0.8%로 전망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2차 추경 효과(0.1%포인트)를 더하면 0.9%가 된다. 하반기 성장률이 0.8% 이상이어야 연간 1% 턱걸이가 가능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1%로, 아시아개발은행(ADB)은 0.8%로 각각 전망했다.

가장 큰 걸림돌은 미국 관세 변수다. 이날 한은은 지난 5월 전망한 연 0.8% 성장률을 달성하려면 미·일이 합의한 상호관세(15%) 수준에서 한국과 미국이 합의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국 전체 수출에서 대미·대중 수출이 40% 이상 차지하기 때문에, 한·미 협상뿐 아니라, 미·중 협상도 어떻게 되는지가 상당히 중요하다”고 짚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2분기 GDP의 반등은 올 1분기 마이너스(-)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고, (상승 폭도) 생각보다 약한 수준”이라며 “관세 협상 결과가 일본보다 좋게 나오지 않는다면 연간 1% 성장률이 나오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유진투자증권 이정훈 이코노미스트는 “소비 쿠폰은 차치하더라도 금리 인하에 따라 부채 부담은 팬데믹 이전에 근접했고, 최근 주가 상승은 그 자체로 소비심리를 개선시키는 요인”이라며 “하반기부터 내수를 중심으로 반등 폭이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5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