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보톡스 15만원" "막국수 공짜"…전국에 &…

본문

17533487979434.jpg

24일 서울 한 편의점에 붙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광고문. 뉴스1

원래 ‘바디 보톡스’는 1회에 19만8000원인데,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 금액에 맞춰서 15만원으로 할인하고 있어요. 온라인 광고를 보고 카카오톡 문의가 많이 늘었어요.(대구 중구 동성로 피부과 의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시 쟁반막국수 또는 보쌈 1인분 추가 증정!(서울 은평구 족발집)

한 명당 기본 15만원을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24일 전체 대상자의 42.5%인 2148만명을 넘은 가운데 각지에서 ‘쿠폰 특수’를 노린 할인 행사와 소비 후기가 줄을 잇고 있다. 일각에선 지급과 관련한 허점과 ‘카드깡’ 사례가 드러나기도 했다.

17533487981354.jpg

서울 한 족발집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행사 광고. 사진 인터넷 캡처

이날 인천 남동구 한 키즈카페에선 소비쿠폰을 쓰는 사람에게 ‘10시간 이용권’을 기존 9만원에서 7만원으로 할인해 주고 있었다. 업체 사장은 중앙일보에 “소비 진작 효과를 극대화해보려는 것”이라며 “다음 달 말까지 할인 이벤트를 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한 카페 이용자는 “할인해 주길래 30시간 이용권을 샀다”는 온라인 후기를 올렸다.

평소엔 쉽게 하지 않던 큰 소비를 했다는 사람도 있었다. 서울에서 자취하는 대학생 박건(24)씨는 “모처럼 마장동에 가서 한우를 사 먹었다”며 “남은 소비쿠폰도 외식을 하는 데 쓸 것”이라고 말했다.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소비쿠폰 지급 이후 국·탕·찌개 등 간편식과 롤티슈 등 생필품 매출도 증가하고 있다.

17533487983353.jpg

24일 인천시 남동구의 한 키즈카페에서 민생지원 소비쿠폰 할인 이벤트를 하고 있다. 사진 해당 업체

소비쿠폰 지급이 본격화하면서 사용 후기가 이어지는 한편, 일부 지급 규정과 관련한 허점도 나타났다. 최근 세종시에서 서울로 이사한 A씨(24)는 “일부러 주소를 세종시로 유지하고 비수도권 추가 지원 3만원을 더 받았다”며 “소비쿠폰을 받고 나서 바로 서울로 전입신고하고 쿠폰 사용지역을 서울로 바꿨는데, 추가 3만원을 토해낼 필요가 없길래 바로 써버렸다”고 했다.

소비쿠폰 지급·사용이 주소지를 기준으로 하면서 거처가 없는 노숙인은 이번 ‘전 국민’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도 있다. 시민단체 홈리스행동 홍수경 활동가는 “주민등록이 말소된 사람은 등록을 회복하고 이의신청까지 해야만 소비쿠폰을 받을 수 있고, 노숙하는 곳과 주소지가 다른 경우가 많아 신청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고 짚었다. 지난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때도 주민등록 말소자가 배제되는 논란이 있었는데, 여전히 지원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는 게 현장의 지적이다.

농촌 지역에서는 사용처 자체가 부족한 문제도 있다. 한 온라인 카페 이용자는 “면(面) 단위 농촌에 사는데 여긴 대부분 하나로마트를 가고, 나머지는 주인이 콩나물·메주 만들어 파는 구멍가게 뿐”이라며 “구멍가게가 있다고 농협 하나로마트가 사용 불가가 됐다”고 토로했다. 소비쿠폰은 연매출 30억원 이하 매장에서만 쓸 수 있도록 돼 있는데, 이 규정에 따라 하나로마트는 원칙적으로 소비쿠폰을 쓸 수 없다. 마트·편의점 등 유사 업종이 없는 일부 지역에 한해 하나로마트 사용 제한을 풀었지만, 작은 유통점포가 있는 지역이라면 하나로마트 사용이 불가능하다.

온라인에선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악용한 이른바 ‘카드깡’과 판매 사기 등의 사례도 발견되고 있다. 최근 당근 등 중고거래 플랫폼에선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원이 충전된 선불카드를 13만원에 판다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이날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소비쿠폰 사용 시한인 11월 30일까지 쿠폰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 단속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상품·서비스 거래를 하지 않고 소비쿠폰 카드 결제만 한 뒤 현금을 돌려주는 행위, 소비쿠폰을 싸게 팔겠다고 속여 돈을 이체받은 뒤 잠적하는 행위 등을 단속하고 범죄수익금은 몰수·추징한다는 방침이다.

17533487985385.jpg

광주광역시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선불카드의 액수별로 색상을 다르게 배부해 논란이 일었다. 뉴스1

일부 지역에서는 소비쿠폰 카드 ‘색깔 차등’ 논란도 일었다. 광주광역시·부산 등에서 소비쿠폰 카드 색상을 달리하거나 지급액을 표기해서 받은 사람이 소득 상위 10%인지,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한부모 가정인지를 노출되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전날 이재명 대통령은 “인권 감수성이 부족한 조치”라고 질타했고, 광주시 공무원들은 카드에 스티커를 붙여 색상을 숨기는 밤샘 작업을 진행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7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