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내란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이상민 25일 소환

본문

17533488019907.jpg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지난 2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받은 후 귀가하고 있다. 뉴스1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24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 대한 강제수사에 나섰다. 한 전 총리가 12·3 비상계엄 관련 수사기관의 강제수사를 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소재 한 전 총리 주거지와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을 압수수색했다. 한 전 총리가 지난 2일 특검팀에 출석해 조사를 받은 지 22일 만이다. 한 전 총리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은 오전 7시 30분쯤 시작돼 오후 1시 46분까지 약 6시간가량 진행됐다. 특검팀은 이와 함께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의 주거지도 압수수색했다.

17533488021839.jpg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혐의를 수사하는 내란 특검 관계자들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덕수 전 국무총리 자택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뒤 압수품을 들고 나서고 있다. 뉴스1

한 전 총리와 강 전 부속실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3일 선포한 비상계엄의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이른바 ‘사후 계엄선포문’ 작성·서명 및 무단 폐기 의혹의 공범이다. 특검팀은 앞서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에 두 사람을 허위공문서 작성 및 행사, 공용서류 손상 혐의의 공범으로 적시했다.

문제의 문건은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12월 4일 강의구 전 부속실장이 초안을 작성하고, 한 전 총리가 부서(副署·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검찰에 긴급 체포되자 해당 문건은 폐기됐다. 특검팀은 이런 일련의 과정에 한 전 총리가 가담했는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특검팀은 또 한 전 총리가 윤 전 대통령에게 비상계엄 선포 직전에 국무회의 소집을 제안한 점도 주목하고 있다. 특검팀은 이를 계엄의 법적 외형을 갖추기 위한 수순으로 의심하고 있다. 그러나 한 전 총리 측은 “윤 전 대통령의 의지가 확고해 다른 국무위원들의 의견을 들어보자는 취지였다”고 반박했다.

특검팀은 한 전 총리가 국정 최고 책임자 중 한 명으로서 국무회의 등에서 계엄에 반대 의사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고, 이후 사후 문건에 서명까지 한 점 등을 들어 국무총리로서의 책임을 방기했을 가능성을 수사하고 있다. 비상계엄과 같은 중대 국면에서 국무위원으로서의 견제 기능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취지다.

이와 별개로 특검팀은 한 전 총리가 지난해 2월 국회 및 헌법재판소 등에서 “계엄 선포문이 양복 뒷주머니에 있었던 것을 나중에야 알았다”고 증언한 부분이 거짓말일 가능성도 의심하고 있다. 특검팀이 확보한 당시 대통령실 대접견실 및 집무실 복도 폐쇄회로(CC)TV 화면에서 한 전 총리가 다른 국무위원 책상 위에 놓인 계엄 관련 문건을 살피는 듯한 장면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특검팀은 조만간 압수물 분석 내용을 토대로 한 전 총리를 다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박지영 내란 특검보는 24일 브리핑에서 “압수수색에서 수집된 증거를 바탕으로 추가 소환이 있을 거 같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특검팀이 한 전 총리의 혐의가 중대하다고 보는 만큼 곧바로 신병 확보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17533488023939.jpg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혐의를 수사하는 내란 특검 관계자들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덕수 전 국무총리 자택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뒤 압수품을 들고 나서고 있다. 뉴스1

내란 특검, 25일 이상민 전 장관 소환

특검팀은 오는 25일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소환 조사한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직전 국무회의에 참석했고, 이후 소방청 등에 특정 언론사 등에 대한 단전·단수 조치를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계엄 해제 당일인 지난해 12월 4일 저녁엔 윤 전 대통령의 핵심 법률 참모들이 모인 ‘삼청동 안전가옥(안가) 회동’에도 참석했다.

특검팀은 이 회동에서 제2 계엄 모의 또는 계엄 수습 방안을 논의했는지 등을 수사 중이다. 이와 관련 박 특검보는 “이 전 장관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혹이 제기된 만큼 사실관계를 폭넓게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특검 수사 선상에 올라있다. 최 전 부총리는 계엄 당시 국가비상 입법기구 관련 예산 편성 등의 내용이 담긴 쪽지를 받았다고 한다. 다만 최 전 부총리는 지난 2월 국회 등에서 “대통령 옆 실무자가 종이를 줬지만 비상계엄은 상상할 수 없는 상황이라, 무시하기로 하고 내용을 보지 않았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특검팀은 이런 주장이 사실인지 확인할 계획이다.

17533488025995.jpg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팀이 지난 17일 오전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자택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뒤 압수품을 들어 나오고 있다. 뉴스1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0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