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3만원 더 받았다" "막국수 공짜" 환호 외…

본문

국민 1인당 기본 15만원을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24일 전체 대상자의 42.5%인 2148만명을 넘은 가운데 ‘쿠폰 특수’를 누리려는 할인 행사와 소비 후기가 줄을 잇고 있다.

이날 인천 남동구 한 키즈카페에선 소비쿠폰을 쓰는 사람에게 ‘10시간 이용권’을 기존 9만원에서 7만원으로 할인해 주고 있었다. 업체 사장은 “소비 진작 효과를 극대화해보려는 것”이라며 “다음 달 말까지 할인 이벤트를 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1회에 19만8000원인 바디 보톡스를 민생회복 소비쿠폰 금액에 맞춰서 15만원으로 할인’(대구 한 피부과)한다거나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시 쟁반막국수 또는 보쌈 1인분 추가 증정’(서울 은평구 족발집)한다는 식의 홍보도 생겼다. 서울에서 자취하는 대학생 박건(24)씨는 “모처럼 마장동에 가서 한우를 사 먹었다”고 말했다.

일부 지급 규정과 관련한 허점도 나타났다. 최근 세종시에서 서울로 이사한 A씨(24)는 “일부러 주소를 세종시로 유지하고 비수도권 추가 지원 3만원을 더 받았다”며 “소비쿠폰을 받고 나서 바로 서울로 전입신고하고 쿠폰 사용지역을 서울로 바꿨는데, 추가 3만원을 토해낼 필요가 없길래 바로 써버렸다”고 했다.

소비쿠폰 지급·사용이 주소지를 기준으로 하면서 거처가 없는 노숙인은 이번 ‘전 국민’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도 있다. 시민단체 홈리스행동 홍수경 활동가는 “주민등록이 말소된 사람은 등록을 회복하고 이의신청까지 해야만 소비쿠폰을 받을 수 있고, 노숙하는 곳과 주소지가 다른 경우가 많아 신청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고 했다.

광주광역시에서는 소득 수준별 소비 쿠폰 현물 카드 색상을 달리해 물의를 빚었다. 전날 이재명 대통령이 “인권 감수성이 부족한 조치”라고 질타하자 공무원 400여 명이 기존 선불카드에 동일한 색상의 스티커를 붙이는 밤샘작업을 했다.

온라인에선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악용한 이른바 ‘쿠폰깡’과 판매 사기 등의 사례도 발견되고 있다. 최근 당근 등 중고거래 플랫폼에선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원이 충전된 선불카드를 13만원에 판다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이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소비쿠폰 사용 시한인 11월 30일까지 쿠폰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 단속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상품·서비스 거래를 하지 않고 소비쿠폰 카드 결제만 한 뒤 현금을 돌려주는 행위, 소비쿠폰을 싸게 팔겠다고 속여 돈을 이체받은 뒤 잠적하는 행위 등을 단속하고 범죄수익금은 몰수·추징한다는 방침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6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