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률 50% 돌파…5조2186억원 지급
-
9회 연결
본문

대전 서구 관저2동 행정복지센터를 찾은 시민들이 소비쿠폰을 신청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자가 전체 국민의 50%를 넘어섰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지자체)는 지금까지 5조원 이상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했다.
2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자는 총 2889만 8749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지급 대상자(5060만 7067명)의 57.1%에 해당한다. 지급액수는 5조 2186억원이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요일제 마지막날

정부는 국민 1인당 기본 15만원을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을 받고 있다. 사진은 서울 중구 명동 거리. [연합뉴스]
지역별로는 인천(60.95%·184만708명)과 세종(60.01%·23만2314명)이 60%를 넘어서며 가장 높은 신청률을 기록했다. 전남은 53.19%(94만3325명)로 시청률이 가장 낮았다. 서울은 56.99%(520만3626명)를 기록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시스템 과부하 방지를 위해 신청 첫 주(21~25일) 출생연도 끝자리를 기준으로 요일제를 운영 중이다. 요일제 마지막 날인 25일은 출생연도 끝자리가 5 또는 0인 국민이 신청할 수 있다.
26일부터는 출생연도와 관계없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다. 신용·체크카드로 받으려면 카드사 홈페이지·애플리케이션·콜센터나 연계 은행 영업점에서 신청할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은 주소지 지방자치단체에서 신청할 수 있고, 지류형 상품권이나 선불카드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면 된다.
1차 신청 마감일은 9월 12일 오후 6시다. 지급받은 소비쿠폰은 11월 30일까지 사용해야 하며, 기한 내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소멸한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소득 하위 90%를 대상으로 한 2차 소비쿠폰을 9월 22일부터 시작한다. 지급액은 1인당 10만원이며, 건강보험료 납부 기준으로 상위 10%에겐 지급하지 않는다. 행정안전부는 “2차 지급 대상과 절차에 대해 추후 안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4일 서울 금천구 비단길현대시장 시흥건어물을 찾아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현장을 점검하며 물건을 구매하고 있다. [사진 행정안전부공동취재단]
당근마켓서 직거래하면 단속

24일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서 직원이 진열된 제품을 정리하고 있다.[뉴스1]
소비쿠폰을 이용한 불법행위 특별단속도 시작한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소비쿠폰 사용시한인 11월 30일까지 불법유통 범죄 특별단속을 진행 중이다.
가맹점이 소비쿠폰 카드결제를 한 뒤 현금을 돌려주는 이른바 ‘카드깡’이나 가맹점에서 실제 거래 없이 매출만 발생시킨 뒤 매출 발생액을 카드사·국가로부터 편취하는 행위는 불법이다.
또 당근마켓 등에서 소비쿠폰 할인판매를 빙자해 개인 간 직거래하는 행위나 소비쿠폰이 입금된 신용·체크카드 등 접근 매체를 타인에게 양도하는 행위도 단속 대상이다.
한편 소비쿠폰 신청·발급을 시작한 22일 고기류·간편식 매출이 증가했다.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에서는 지난달 24일 대비 지난 24일 도시락(23.1%), 김밥(35.8%), 샌드위치(29.7%) 등 간편식 매출이 23.8% 증가했다. 편의점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도 같은 시점 기준 GS25 국산 쇠고기 매출이 178.4% 증가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시절 지급했던 전 국민 재난지원금과 비교하면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훨씬 빠른 속도로 순조롭게 신청·지급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