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1287억짜리 세종보 "개방 유지"…농성장 먼저 찾은 환경장관
-
7회 연결
본문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환경단체 농성장을 찾아 세종보 개방 상태를 유지하겠다고 하자 논란이 일고 있다. 세종시민들은 “세종보 개방 같은 주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제를 왜 시민 의견도 묻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냐”고 지적한다. 세종보는 문재인 정부 때부터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윤석열 정부가 가동을 위해 수십억원을 들여 수리했다.

세종시 세종동 금강 세종보 전경. 중앙포토
환경부 장관 "세종보 개방 바람직"
26일 환경부와 세종시 등에 따르면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지난 24일 오전 환경단체가 농성 중인 세종시 한두리대교 밑을 찾아 “세종보의 완전 개방 기간이 가장 길고 현 상황에서는 완전 개방 상태 유지가 바람직하다”라며 앞으로 시민사회와 전문가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합리적인 처리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어 “금강은 세종보와 공주보의 완전 개방으로 재자연화를 위한 좋은 여건을 갖췄다”라며 “백제보의 완전 개방을 위해 지하수 이용 문제 해결을 위한 안정적인 용수 공급 대책을 주민들과 함께 찾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강은 흘러야 한다는 소신으로 과거의 논쟁을 넘어, 실질적인 4대강 재자연화가 이행되도록 하겠다. 다른 강보다 재자연화 여건이 양호한 금강에서 성과를 만들고 이를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난 24일 세종시 한솔동에서 금강 세종보 재가동 중단을 요구하며 농성 중인 환경단체 관계자들과 만나 의견을 경청하고 있다. 뉴스1
세종시민 "장관이 농성장 찾는 게 먼저인가"
이에 세종보 가동추진 주민협의체(협의체)는 “전국 곳곳에서 물난리가 발생한 상황에서 보 활용 등 치수와 이수 대책을 서둘러도 시원치 않은데 환경부장관이 취임하자마자 환경단체 농성장을 찾는 행보는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협의체 홍승원 대표는 “서울 등 세계 주요 도시는 모두 큰 강을 활용해 도시 경쟁력을 키워왔다”라며 “세종보를 가동해 금강도 한강처럼 멋진 경관을 유지하려면 세종보를 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협의체는 지난 4월 세종보 가동을 원하는 세종시민 3000여명의 서명을 받아 환경부에 전달했다. 하지만, 환경부는 “세종보 운영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는 만큼 지역 사회 충분한 논의와 공감대가 형성되면 지역이 원하는 방향으로 운영하겠다”고 답했다. 세종시에 따르면 세종시민 가운데 80%는 보 가동에 찬성하고 있다고 한다.
문재인 정부는 생태계를 복원한다며 2018년 1월 세종보를 개방하고, 3년 뒤 국가물관리위원회를 통해 보 해체를 결정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국가물관리위는 2023년 8월 기존 보 처리 방안을 취소 의결하고 재가동을 추진했다.

세종시 금강 세종보. 프리랜서 김성태
세종보 상류에 100억 들여 별도 취수시설
환경부와 세종시 등에 따르면 정부는 2023년 11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약 6개월간 세종보를 수리했다. 문재인 정부가 보를 개방한 지 약 5년 만이었다. 고장 난 수문과 유압 배관, 소수력발전소 등을 고쳤다. 여기에 30억원이 넘는 세금을 썼다. 세종보는 콘크리트로 만든 고정보(125m) 외에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동보 3개(223m)로 이뤄진 다기능 보다. 세종보는 노무현 정부가 행정수도를 건설하면서 계획했고, 이명박 정부 때인 2009년 완공됐다. 공사비는 1287억원 들였다. 환경부는 세종보 개방에 따라 세종시 용수가 부족해지자 100억원을 들여 세종보 상류 지점에 별도의 취수시설을 지난해 말 완공했다.

세종보. 김방현 기자
환경부는 당초 수리를 마치는 대로 세종보를 재가동하겠다고 했다. 그런데 일부 환경 단체 회원이 지난해 4월 30일부터 세종보 상류에 천막을 치고 농성에 들어가자 가동을 하지 않고 있다.
보를 가동하면 세종시 도심을 관통하는 하천과 휴식 공간인 세종호수공원·국립세종수목원 등에 물을 하루에 2만여t씩 공급할 수 있다. 또 수력발전시설을 통해 연간 1만1000여 명이 쓸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오랫동안 보를 가동하지 않음에 따라 세종시 금강은 모래가 날리고 고라니가 뛰노는 곳으로 변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