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SPC, '8시간 초과 야근' 없앤다...李 대통령 &…

본문

SPC그룹이 생산직 근로자의 8시간 초과 야근을 없애기로 했다. 지난 5월 발생한 근로자 사망 사고에 따른 후속 조치로, 최근 이재명 대통령은 SPC를 방문해 심야 장시간 노동을 사고의 원인으로 지적하기도 했다.

SPC그룹은 27일 이날 대표이사 협의체인 SPC 커미티를 열고 야근 시간 축소 방침을 결정했다. SPC그룹은 “최근 시화 공장에서 열린 현장 간담회에서 지적된 야간 근로와 노동 강도 문제를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라며 “근무 형태를 비롯한 생산 시스템을 전면 개혁한다”고 밝혔다.

17535995213268.jpg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5일 경기 시흥시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SPC는 파리바게뜨, 파리크라상, 샤니, 삼립식품 등 회사별 실행 방안을 마련해 10월부터 신선제품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한 생산 라인의 8시간 넘는 야근을 폐지할 계획이다. 또 향후 노사간 협의를 거쳐 야간 근로 자체도 점차 줄여가겠다는 게 SPC 측 설명이다.

이 같은 결정은 지난 25일 SPC삼립 시화 공장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장시간 근로에 대한 지적이 나온 데 따른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당시 “똑같은 현장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똑같은 사고가 반복되는 것은 문제”라고 했다.  특히 5월 발생한 50대 사망 사고가 새벽 시간대 일어난 것을 두고 “(이번 사고는) 심야 장시간 노동 때문에 생긴 일로 보인다”라고 했다.

SPC삼립 공장 근로자들이 주간과 야간 각각 12시간씩 이틀간 근무한 뒤 하루를 쉬는 3조 2교대 방식으로 근무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이 대통령은 “노동 강도가 너무 세서 밤에는 졸릴 것 같다”라며 “일주일에 나흘을 풀로 12시간씩 일하는 것이 가능한 일인지 의문이 든다”라고도 했다.

SPC는 이 대통령과 간담회에서 2027년까지 2조 2교대를 20%로 줄이고 안전설비 확충, 위험 작업 자동화, 작업환경 개선, 장비 안전성 강화에 624억원을 추가 투입하는 계획을 공개했다.

SPC삼립 시화 공장에서는 지난 5월 50대 여성 근로자가 생산 라인의 컨베이어에 윤활유를 뿌리다가 기계에 끼여 사망했다. 앞서 2022년 10월 SPC그룹 다른 계열사인 SPL 평택 제빵공장에서, 2023년 8월 샤니 성남공장에서도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17535995215468.jpg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허영인 SPC그룹 회장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SPC 관계자는 “필수적인 품목 이외로 야간 생산을 최대한 없애 공장 가동 시간을 줄여 갈 것”이라며 “주간 근무 시간도 점진적으로 줄여 장시간 근무로 인한 피로 누적과 집중력 저하, 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차단할 것”이라고 했다. 또 “노동조합과 계속 협의해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교육과 매뉴얼도 정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1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