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중 긴장 완화 신호탄 될까 “트럼프, 방중 노력 중…시기는 전승절 아닌 APEC”

본문

미·중 정상회담에 대한 조율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양국의 갈등 국면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미·중이 오는 10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후를 목표로 회담 조율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이 양국의 갈등에 돌파구 역할을 할 수 있지 않겠냐는 기대다.

17536008679603.jpg

미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 블룸버그

26일(현지시간) 홍콩 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미·중은 트럼프 대통령의 APEC 방문을 전후로 정상회담 일정을 논의하고 있다. APEC을 전후로 중국을 방문하거나 APEC 기간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과 양자 회담을 갖는 방식이다. SCMP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여전히 난관이 남아있다”면서도 “미·중의 고위 관리들이 10월 또는 11월 일정을 위해 의견을 공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을 놓고 일부 외신은 이른바 ‘전승절’로 불리는 9월 3일 '항일전쟁 및 반(反)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 대회' 참석 가능성을 예상한 적이 있다. 하지만 해당 방안은 “협의에서 지워졌다(off the table)”는 게 SCMP의 분석이다. 같은 달 인도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와 미국 내 일정 등을 고려하면 물리적으로 시간이 촉박한 데다, 외교적으로도 부담이 적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승절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조우해야 하는 어색한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미국 입장에선 상대적으로 중립성이 짙은 APEC 같은 외교 무대가 적절하다고 봤을 수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첫 미·중 정상 간 만남이 조만간 성사될 것이라는 전망의 배경엔 양국이 긍정적인 사전 신호를 표출했던 점이 우선 꼽힌다. 지난 6월 초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취임 후 첫 통화에서 초청을 받은 뒤 “중국 방문이 어느 시점에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을 뿐 아니라 시 주석에게도 방미를 요청했다고 직접 설명했다.

17536008682006.jpg

지난 7월 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트럼프 2기 첫 대면회담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AP

지난 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의 만남에서도 낙관적인 기류가 포착됐다. 당시 루비오 장관은 기자들과 만나 양국 정상회담에 대해 “미중 모두 강한 의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상회담을 연결 고리로 양국의 소통 채널이 활기를 띠면 무역 전쟁을 둘러싼 그간의 미·중 갈등 국면에도 해빙기가 찾아올 가능성이 있다. 접점을 향해 이미 움직이고 있는 미·중의 행보는 이런 시각을 뒷받침한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미·중은 서로를 향해 각각 145%, 125%의 고율 관세를 매겼다가 지난 6월 이를 각각 30%, 10%로 내렸다. 서로 부과했던 추가 관세 24%는 90일간 유예하기로 하면서였다. 더불어 고위급 접촉을 통해 중국의 희토류 수출 재개, 미국의 반도체 제재 완화 등도 이뤄졌다. 왕원타오(王文濤) 상무부장은 “미국과의 무역 관계를 안정적인 토대 위로 되돌리기를 희망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반면 안보 등 양국의 입장 차가 분명한 현안이 부각될 경우 정상회담 논의가 오히려 갈등의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대만 문제가 대표적이다. 미·중이 서로를 이 지역 긴장 고조의 원인으로 지목하며 평행선을 노출하는 상황이 지속되면 APEC이 오히려 대중국 견제의 장이 될 가능성도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1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