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총격 신고' 70분 뒤 출동한 경찰 지휘관 &#034…

본문

1753625962218.jpg

지난 21일 인천 송도국제도시 아파트에서 60대 남성이 아들을 사제총기로 살해한 뒤 체포됐다. 경찰이 21일 집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피의자 진술을 토대로 서울 도봉구 피의자 자택을 수색하고 있다. 사진 서울소방재난본부

인천 사제총기 살인 사건 발생 당시 현장에 관할 경찰서 상황관리관이 112 신고 70분이 넘도록 도착하지 않았단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27일 인천경찰청 등에 따르면 지난 20일 사제총기 살인 사건 발생 당시 인천 연수경찰서 상황관리관 A경정이 현장 지휘관 역할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출동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피의자 B씨(62)가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한 아파트 33층 집에서 사제 총기로 아들 C씨(33)를 쐈다는 112 신고를 오후 9시31분 접수했다. C씨의 아내인 신고자는 자녀들과 방 안으로 대피하며 “살려주세요. 살려주세요. ○동 ○호다. 남편이 총을 맞았다”고 신고했다. 이어 다시 이어진 6분간 통화에서 “남편이 피를 많이 흘렸고 아버지가 밖에서 총을 들고 계세요”라고 경찰에 전했다.

경찰은 총격 사건 신고에 최단시간 출동 지령코드인 ‘코드0(위급 사항 최고 단계)’을 발령했고, 신고 접수 10분 뒤 초동대응팀이 현장에 도착했다. 하지만 A경정은 그로부터 1시간여 뒤, 경찰특공대가 피해자 도주를 인식한 직후인 10시 43분쯤에야 현장에 도착했다. 경찰특공대는 이날 오후 10시16분쯤 현장에 도착했으나 10시40분쯤 내부에 진입해 늑장 진입 논란을 낳았다. 이미 B씨가 최초 신고 10분 뒤인 오후 9시41분쯤 현장을 떠나 차를 타고 도주한 이후였기 때문이다. 현장을 지휘했어야 할 A경정은 현장 상황 종료 후에 도착한 셈이다.

경찰 매뉴얼에 따르면 당직인 상황관리관은 코드0가 발령되면 초동대응팀과 함께 가장 먼저 출동해 지휘관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대해 A경정은 “무전을 통해 도착할 때까지 (무선으로) 지휘하려고 노력했다”며 “매뉴얼을 숙지하지 못한 건 사실”이라고 시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청은 경찰특공대가 총격 신고 후 1시간이 지난 뒤 현장에 진입한 것에 이어 상황관리관 지각 출동한 사실까지 드러남에 따라 이번 사건 관련 대응 논란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한편 살인 등 혐의로 구속된 A(62)씨는 이날 인천 연수경찰서에서 진행된 6번째 조사에서 “아들만 범행 대상으로 삼았다”며 주장하면서 며느리와 손주 등에 대한 살인미수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7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