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미국 현지건조·기술이전 꺼냈던 조선 빅3, 정부와 대응책 모색

본문

한·미 관세 협상의 막판 지렛대로 양국 조선업 협력이 부상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해군력 증강에 몰두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한국의 조선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내 한 조선업체 임원은 27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부 당국자와 수시로 소통하면서 협상 타결을 위한 한·미 조선 협력의 세부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했다. 전날 대통령실은 대미 통상 대책 긴급회의를 마친 뒤 “미국 측의 조선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하고, 양국 간 조선 협력을 포함한 상호 합의 가능한 방안을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지난 23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HD현대중공업·한화오션·삼성중공업 등 ‘빅3’는 정부에 현지 건조를 위한 인력양성, 기술이전, 기자재 공급망 강화 방안을 제출했는데 이후에도 민관이 함께 대응방안을 만들고 있다는 얘기다.

지난 22일(현지시간) 관세 협상을 타결한 일본 역시 협상 지렛대로 조선업 협력을 내걸었다. 백악관은 23일 팩트시트(참고자료)를 통해 “일본은 미 제조업 재건을 위해 550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으로 (이 자금에는) 상선 및 국방 분야의 선박 건조 사업, 미국 현지 신규 조선소 건설과 기존 조선소 시설의 현대화를 포함한다”고 밝혔다.

일본이 먼저 미국과 조선업 협력을 약속했지만 기술력에서는 한국이 앞선다는 평가다. 한국은 LNG선 건조와 친환경 첨단 연료 대응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은 미국 헌팅턴 잉걸스(군함), ECO(상선)와 각각 기술협력을, 한화오션은 미국 오스탈 USA(군함) 지분 확보, 한화필리십야드(상선) 인수 등으로 대미 협력이 이미 진행 중인 점도 협상력을 높일 수 있는 카드다.

미국 군수지원함에 대한 유지·정비·보수(MRO) 사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미국의 MRO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국가는 한국과 일본 정도이고 기술력과 경험 면에서 한국이 더 적합하다”고 분석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79 건 - 1 페이지